17일 국토교통부와 수원시에 따르면 전날 국토부는 경기남부 민간공항 건설 등에 대한 사안을 포함한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을 항공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고시했다.
국토부는 고시에 따라 지방 공항시설 추가 개발·이전을 장래 항공수요 추이와 주변 개발계획 등의 여건 변화를 감안해 중장기적으로 강구할 방침이다.
국가 공항개발 종합계획은 '공항시설법' 제3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공항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6차 종합계획(2021~2025년)은 △신공항 개발·기존 공항 이전을 포함한 공항별 개별 방향 △중장기 공항 정책 추진 방향·과제 △장래 항공 수요 예측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국토부 고시를 통해 시는 예비이전후보지(화옹지구)인 화성시의 거센 반대로 7년째 답보 상태에 놓인 수원 군공항 이전의 대안으로 거론돼 온 '경기남부 민·군통합공항'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먼저 시는 경기남부 민간공항이 건설되면 경기남부 도민 820만 명의 공항 접근성이 높아지고, 삼성·LG·SK하이닉스 등 경기남부에 있는 IT·반도체 기업과 대규모 무역회사들의 화물 운송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민간공항 건설을 통해 전철, 광역도로 등 교통망이 확충돼 경기남부가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또 이 같은 교통 인프라를 토대로 공항 주변에 융복합 첨단기술, 신재생 에너지, 농수축산 바이오, 휴양관광 등 각종 산업시설을 집적한 '항공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룰 것이라고도 했다.
이와 관련해 경기남부권 8개(성남·용인·평택·안산·수원·오산·이천·안성) 상공회의소장들이 지역 경제인들의 열망을 담은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 유치건의서'를 국토부에 제출했고, 화성 삼괴중고(화성시 우정읍) 총동문회, 기아자동차 화성공장 현장 노조에서도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 유치를 지지하고 나선 바 있다.
수원시의 공항 이전 관련 개발구상안을 보면,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후보지인 화옹지구에 민·군통합국제공항을 건설할 경우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투자재원 20조 원 이상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됐다.
새로운 민·군통합국제공항은 수원에 있는 종전부지의 2.7배가량 면적인 440만 평(1454만 5454㎡)에 조성돼 소음 완충 지대를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특히 시는 대표적 친환경 공항인 싱가폴 창이공항처럼 저탄소, 친환경 국제공항으로 조성함으로써 인근 화성 국제테마파크 등과 연계해 휴양관광 랜드마크로 거듭나는 것은 물론, 상대적으로 침체된 화성 서부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 5월 아주대학교에서 진행한 '민간공항 활성화 사전 검토용역'에서는 해당 공항 이전사업의 경제적 타당성(B/C)이 기준값인 1을 크게 웃도는 2.043으로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국토부의 계획을 통해 경기남부 민간공항 건설의 단초가 마련됐다"며 "제자리걸음이었던 수원 군공항 이전과 경기남부 통합국제공항 건설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2만 9천 가구, 11만 명 규모인 화성 진안신도시 지정으로 소음피해를 막기 위해 수원 군공항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진 가운데, 화성시가 군공항을 공모를 통해 타 지역으로 옮길 것을 촉구하면서 일부 지역에서 유치를 희망하고 나선 상태다.
하지만 군공항 이전을 주관하는 국방부는 법적 절차에 따라 예비이전후보지를 결정한 상태에서 이전사업을 원점으로 돌리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 2013년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이듬해 수원시의 이전 건의를 거쳐 국방부는 2017년 2월 수원 군공항의 예비이전후보지로 화성시 화옹지구를 선정했다.
그러나 화성시의 강한 반발로 진전되지 않자, 이전 지역에 대한 대규모 경제지원과 개발 계획을 포함한 '경기남부 민·군통합공항 건설'이 대안으로 거론돼 왔다.
다만, 민간공항과 군공항을 통합해 이전하려면 국토교통부, 국방부, 지자체 등 관계 기관 간 협의가 전제돼야 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