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북한이 비난하던 한미연합훈련이 이제 끝난 만큼 북한의 향후 동향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군사적 도발 여부이다. 북한 김여정 부부장과 김영철 통일전선부장의 반발 담화에도 불구하고 일단 이번 연합훈련기간에 북한의 하계 군사훈련을 제외하고 별다른 군사적 동향은 없었다.
그러나 지난 상반기 한미연합훈련의 경우 종료 3일 뒤인 3월 21일 북한은 순항 미사일 두 발을 해상에 발사한 적이 있기 때문에, 아직 상황은 유동적이다.
한미연합훈련에 대한 김여정의 반발 담화와 함께 끊긴 남북연락채널이 다시 복원될지 여부도 주목된다. 북한은 과거에도 훈련기간에 통신선을 끊었다가 이후에 재개한 적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2009년은 개성공단이 가동 중이어서 공단운영을 위해서는 통신선 복원이 불가피했으나, 지금은 공단이 폐쇄된 상황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게다가 북한은 한미연합훈련을 비난하고 안보위기까지 거론하며 위협한 김여정과 김영철 담화를 노동신문 등 북한 매체에 실어 일반 주민들에게도 공개한 상황이다.
따라서 북한은 한미훈련이 끝났다고 해서 일정한 명분 없이 남측의 통화에 바로 응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이 나온다.
전직 정부 고위관계자는 "통신선 연결 자체는 간단한 것이기 때문에 북한이 통화에 응하는 것이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니"라면서 "하지만 김여정·김영철 담화의 연장선상에서 볼 때 그냥 넘어가기 보다는 저강도 군사적 대응을 할 가능성은 여전히 있다"고 전망했다.
한미연합훈련이 끝난 뒤 북한이 27일, 또는 다음 주 어떤 움직임을 보이느냐가 향후 국면의 중요 고비가 될 전망이다.
통일부 당국자는 "훈련 종료 이후 북한의 태도나 반응에 대해 현 시점에서 예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북한이 전화를 받지 않는 상황에서도 그 동안 정기통화 시도를 계속해왔고, 앞으로도 이런 식의 노력을 계속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최고인민회의 5차 회의에서는 시·군 발전법, 청년교양보장법 채택과 인민경제계획법 수정보충(개정)과 관련한 문제, 재자원화법 집행·검열·감독 정형과 관련한 문제, 조직(인사) 문제를 토의 한다"고 보도했다.
이 중 청년교양보장법은 '반동사상문화배격법'에 이어 청년층만을 대상으로 사상 통제와 단속을 강화하기 위한 법을 새로 만들려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