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없는 인구 감소…부산 인구 50년 뒤 '반토막'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50년 뒤 부산 인구가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등, 인구 감소율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전망됐다.
 
특히 부산 대부분 구·군이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하는 등 '지역 소멸'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부산 인구 감소율…광역지자체 중 1등

감사원이 통계청, 한국고용정보원 등과 함께 분석한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수준 출산율을 유지할 경우 전국 인구는 2017년 5136만명에서 2047년 4771만명으로 7.1% 감소할 예정이다.
 
같은 기간 부산 인구는 342만명에서 263만명으로 23.2%나 줄어든다. 이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반면 수도권 인구 집중은 심화해 2047년 경기도는 인구가 6.2% 증가하고, 인천 인구는 288만명으로 부산 인구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됐다.
 
50년 뒤인 2067년에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인구가 감소하는 가운데, 이때도 부산 인구는 44.4% 감소해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67년, 강서구 제외 모든 지역 '소멸 고위험 단계'

부산 각 구·군별 인구 변화 전망을 보면 상황이 더 심각하다.

30년 뒤인 2047년 부산은 강서구와 기장군을 제외한 모든 구·군 인구가 감소할 예정이다. 연제구와 수영구가 0~20%, 해운대구와 부산진구 등 12개 구·군은 20~40%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50년 뒤인 2067년은 16개 구·군 모두 감소세로 돌입해 강서구가 0~20%, 수영구와 기장군이 20~40%, 나머지 13개 구·군은 40~60% 줄어들게 된다.
 
지금과 같은 저출산 현상이 이어진다면, 거리가 먼 이야기처럼 받아들여졌던 지역 소멸도 수십년 내에 현실로 다가올 예정이다.
 
스마트이미지 제공

한국고용정보원은 소멸위험지수에 따라 각 지역을 저위험지역, 정상지역, 주의단계, 소멸위험 진입단계, 소멸 고위험 단계 등 5단계로 구분한다. 소멸위험지수란 20~39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고령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0.2 이상 0.5 미만이면 소멸위험 진입단계, 0.2 미만은 고위험 단계다.
 
분석 결과, 2017년 전국 229개 시·군·구 중 83곳이었던 소멸위험 지역은 30년 뒤 모든 지역으로 확대된다. 이 중 소멸 고위험 단계가 157곳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은 2047년 부산진구, 강서구, 연제구 등이 소멸위험 진입단계에 돌입하며, 나머지 13개 구·군은 고위험 단계에 들어설 예정이다.
 
2067년에는 강서구를 제외한 부산 모든 지역이 고위험 단계가 되는 등 큰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지 않는 한 부산은 고령층, 초고령층 중심사회가 돼 공동체 인구기반이 점차 사라질 전망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