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발견된 한글 금속활자는 순경음(ㅱ, ㅸ), 이영보래(ㅭ), 반치음(ㅿ) 등 15세기에 한정돼 사용된 동국정운(東國正韻)식 표기법을 따른다. 이는 그동안 인쇄본으로만 확인됐을 뿐 실물 발견은 처음이라 그 의미가 크다.
특히 한자 금속활자의 경우, 현재까지 전해진 가장 이른 조선 금속활자인 세조시대의 '을해자'보다 20년 이른 세종시대의 '갑인자'(1434년)로 추정되는 활자가 다량 확인됐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옥영정 교수는 "갑인자로 추정되는 활자가 추후 연구를 통해 '갑인자'로 확인이 되면 한자 금속활자로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조선시대 금속활자로서 각종 사료 및 기록과 일치하는 중요한 실물자료가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세종 때 천문시계인 일성정시의, 세종~중종 대 물시계 주전 등도 발견됐다. 이들 역시 기록상으로만 남아있던 유물로 실물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충북대 천문우주학과 이용삼 전 교수는 "세종 시대의 과학기술의 실체를 확인한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번에 출토된 금속활자와 주전 등 동 제품은 깨진 항아리에서 나왔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재화의 가치가 있는 동 제품들을 의도적으로 숨긴 것으로 분석했다.
유물 출토를 주도한 수도문물연구원 오경택 원장은 "동은 조선시대 아주 비쌌다. 총통 등이 고의적으로 절단돼 묻혀 있는 것으로 봐서 급박한 상황에 묻었다가 다시 꺼내지 못한 것으보 보인다"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전란이 있었던 16세기 유물 등에서 이런 식으로 묻은 경우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이번에 대규모 유물이 나온 지점은 종로2가 사거리, 탑골공원 서쪽으로 종로 뒤편 작은 골목인 피맛골과 인접한 곳으로 일반 서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