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건물 붕괴' 재개발 비리 복마전… 경찰 진실 밝히나?

업체 선정 비리에서부터 정·관계 유착 의혹까지
이면 계약·조폭 연루설·분양권 로비 등 진실은?

지난 14일 오전 광주 동구 학동 철거 건물 붕괴 사고 현장에서 공사 관계자들이 가림막 설치 준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건물 붕괴' 사고와 관련한 경찰 수사가 지역 재개발 사업을 둘러싼 각종 의혹 전반으로 확대된 가운데 경찰이 과연 실체를 밝힐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1일 광주경찰청 수사본부 등에 따르면 이번 학동 4구역 재개발 현장에서 일어난 사고는 불법 재하도급을 받은 철거업체가 해체계획서에 있는 절차를 어기고, 제멋대로 철거를 한 것이 1차적인 원인인 것으로 드러났다.

5층부터 아래로 해체해야 하는 작업 절차를 어긴 채 1층과 2층을 먼저 허문데다 건물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건물 지지용 안전장치인 쇠줄도 설치하지 않았고, 결국 건물이 붕괴돼 17명의 사상자를 낸 대형 참사로 이어졌다.

경찰은 이 이면에는 재개발 사업 공사 전반에 불법 재하도급은 물론 나눠먹기 식 이면계약과 허가과정에서의 특혜 등 총체적인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은 현장에서 석면 제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관련 공사비가 부풀려진 점 등을 토대로 조합 측이 이면 계약을 했을 가능성을 열어 놓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조직폭력배 출신인 문흥식 전 5·18구속부상자회장이 조합 고문으로 참여해 각종 불법 행위를 주도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집중 수사를 벌이고 있다.

무엇보다 막대한 이권이 걸린 지역 내 재개발 사업에 분양권 로비 등 정·관계 유착 의혹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상황에서 경찰이 진실을 밝혀낼지도 관심이다.

실제 학동 3구역과 4구역 조합장인 조씨는 지난 2019년 가족 등 타인 명의로 동구 지산1구역 재개발 예정지에 다세대 주택 12가구를 사들여 부동산실명제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동구청 공무원이 연루돼 조사를 받고 있다.

동구청 공무원은 당초 분양권이 하나만 주어지는 다가구 주택을 다세대 주택으로 변경시켜줬고, 본인도 이 과정에서 1가구를 매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사업과정에서 특혜를 얻고자 전직 기초단체장과 경찰 간부, 지역 유력 사업가 등에게 분양권을 제공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