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지사는 기본소득으로 야권 주자들과의 설전에,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는 지지율 부진의 늪에 각각 빠지며 반전을 꾀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이 지사는 최근 기본소득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보편적 울트라(超) 기본소득제' 라 불리는 모든 국민들에게 연간 100만원 정도의 소액을 기본소득으로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한다"며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아브히지트 베너지 교수 부부를 인용했다.
문제는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자 베너지 교수의 배우자인 에스테르 뒤플로 교수가 지난해 방한한 자리에서 "한국과 같이 경제 규모가 크고 많이 발전한 나라들은 조건부 현금 지급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며 선별적 지원을 옹호했다는 점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인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은 "존경받는 개발경제학자 베너지-뒤플로 교수는 선진국의 기본소득에 대해 이재명 지사와 정반대 입장이다. 이것을 뒤집어 본인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처럼 꾸며대는 정치인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겠느냐"며 "잘 번역된 저서가 서점마다 깔려 있어 금방 확인 가능한 문제에 대해 이 정도 거짓을 내놓을 정도면 확인하기 쉽지 않은 다른 문제들은 오죽할까"라고 비판에 나섰다.
때 아닌 경제전문가 인용 논란에 이 지사 측은 제대로 된 정책 토론은 추후 대선 본선에서나 벌어질 일이라며 확대해석을 자제하면서도 이 지사가 불필요한 논란을 키웠다는 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
야권의 군소 후보나 의원 개인의 지적에 굳이 SNS에서 설전을 벌여 사안을 확대시킬 필요가 있었냐는 것이다.
이 지사 측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당장 상당한 규모의 기본소득을 시행하자는 것도 아니고 정책을 가다듬는 단계인데 불필요한 논쟁에 이 지사가 대응을 하고 있다"며 "백신 공급, 성추행 피해 후 극단적 선택을 한 이 모 중사 사건 등 국민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사안을 좀 더 살피고 대응에 나서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이 중사 사건이 알려진 후 여권 잠룡들 중 가장 먼저 철저한 조사와 처벌을 촉구했고,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며 백신 접종 홍보에도 적극 나섰다.
LH 사태 대응, 민주당 송영길 대표의 민심청취 보고서와 '누구나집' 프로젝트, 대통령을 비롯한 선출직의 피선거권 연령제한 철폐 등 각종 이슈에 대해서도 빠르게 반응했다.
하지만 각종 여론조사 결과 이 지사에게 크게 뒤진 수준으로 여권 2위 주자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정 전 총리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일본이 독도를 자국 영토처럼 표기하자 "저놈들", "고약하고 치사하다"는 표현까지 사용하며 올림픽 불참 가능성을 언급했다.
자영업자들에 대한 손실보상제 촉구, 윤석열 전 검찰총장 비난, 육군 훈련소 방문 등 현안 대응에도 적극 나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갤럽이 지난 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에게 실시해 지난 4일 발표한 대선 여론조사 결과 이 전 대표는 5%, 정 전 총리는 1%를 각각 얻는데 그쳤다.(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정 전 총리는 알앤써치가 매일경제-MBN의 의뢰로 지난 1일~2일 전국 18세 이상 104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지지율 4.2%를 기록했다.(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p, 자세한 내용은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이는 5.1%를 얻은 추미애 전 법무장관에 뒤지는 수치로, 빅3라는 수식어가 무색해지게 된 셈이다.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 측은 지지율 부진이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이를 지나치게 의식하기 보다는 메시지와 자체적인 콘텐츠를 보강해 좀 더 진정성 있게 민심에 다가갈 방침이다.
이 전 대표 측 관계자는 통화에서 "경선 판 자체를 흔드는 방안들도 검토를 하고는 있지만 이는 지지율 상승 뿐 아니라 우리를 비롯한 다른 후보들에게도 리스크가 될 수 있어 조심스럽다"며 "최근 이 중사 빈소에 가장 먼저 다녀오고 메시지도 여러 차례 냈는데, 이렇게 현안에 목소리를 내는데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정 전 총리 측 관계자도 통화에서 "지지율은 한 두 번의 사건보다는 추세가 중요한데 이를 이끌어내려면 자신 만의 콘텐츠를 만들어서 보여드려야 한다"며 "지금 단계에서는 정책이나 가치관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보다는 현안에 대한 메시지가 중요한 만큼 이를 보강하는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