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원내 장악 이어 당권까지 노리나…과거 회귀 이미지 우려
지난달 30일 신임 원내대표로 김 의원(4선‧울산남구을)이 당선되며 영남당 논란은 불이 붙는 형국이다. 원내대표 경선 전부터 주호영 전 원내대표 등 다수 영남 출신 의원들의 당 대표 도전이 예상되면서 '영남 투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내년 3월 대선을 앞두고 원내 권력에 이어 당권까지 영남 인사들이 차지할 경우, 과거로 회귀하는 듯한 이미지를 주면서 중도 표심 확보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 원내대표는 원내수석부대표에 추경호 의원(재선·대구달성)을, 원내대변인에는 강민국 의원(초선·경남진주을) 등 중용하며 원내 요직 상당 부분을 영남 출신으로 채운 상태다.
당권 주자 중에선 지난달 23일 조해진 의원(3선‧경남밀양의령함안창녕)과 지난 3일 홍문표 의원(4선‧충남홍성예산)이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조 의원은 출마 선언에서 자신을 '수도권의 이미지를 가진 영남 출신'이라고 소개했고, 홍 의원은 "정권을 잡으려면 영남 정당으론 어렵다는 게 대다수 국민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당권 주자들 스스로 '영남당' 논란을 의식하고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대선 앞두고 '영남당' 이해득실 관건…일각선 '분열책' 지적도
전당대회를 코앞에 두고 영남당 논란이 커지고 있는 이면엔 대선 승리를 위한 당 쇄신에 대한 불안감이 자리 잡고 있다는 게 중론이다. 국민의힘이 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서 압승을 거둘 수 있었던 배경엔 김종인표 개혁과 중도성향 오세훈 후보 선출이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대선은 특히 수도권 표심의 향배가 승패를 결정짓는 만큼 중도층 확장을 위한 쇄신을 이어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4‧7 재보선 다음날 당을 떠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닌달 8일 퇴임 회견에서 '낡은 이념과 특정한 지역에 묶인 정당'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문했고, 초선의원들도 같은날 "특정 지역 정당이란 지적과 한계를 극복해 나가겠다"는 성명서를 냈다.
당권 도전을 선언하며 이른바 '초선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김웅 의원에 대한 김 전 위원장의 간접적인 장외 지원도 지속되는 분위기다.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일 언론 인터뷰에서 "초선이 당 대표가 되면 국민의힘이 근본적으로 변화한 모습을 일반 국민에게 보여주는 모습이 될 수 있다"고 사실상 김 의원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일부 초선의원들 사이에선 '도로 영남당'을 우려하며 성명서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초선의원 56명 전체의 의사가 아닌 일부 세력의 의견에 불과해 예상보다 파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당내 일각에선 영남당 논란 자체가 여권이 만든 제2의 막말 프레임에 빠져드는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정진석 의원은 지난 4일 페이스북에서 "당 일부에서 나오는 '영남당' 운운은 자해행위"라며 "이건 우리 당 사람들이 입만 열면 적대세력들이 '막말'이라고 몰아붙인 막말 프레임의 변형"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