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원내대표는 야당과의 협상을 총괄하는 본연의 역할에 더해 다음 달 2일 당대표 선거 때까지 지도부 공백을 메운다.
◇ 당분간 '간판' 역할
민주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모처럼 대면 의원총회를 열어 원내대표를 선출한다.
임기를 한달 앞둔 김태년 전임 원내대표가 4·7 재보궐선거 참패 책임을 지고 사퇴하면서 경선이 예정보다 빨리 열리게 됐다.
역할은 어느 때보다 막중하다.
신임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뽑는 5·2 전당대회까지 대표 직무대행으로서 '간판' 역할을 떠맡을 예정이다.
선거 패배 뒤 당 안팎에서 쏟아지는 백가쟁명식 수습책을 조율하고, 숱하게 밝혔던 쇄신 의지를 정책과 정무로 증명해야 한다.
◇ 윤호중 '우세' 속 박완주 '기세'도
후보로는 윤호중 의원(4선·경기 구리)과 박완주 의원(3선·충남 천안을)이 출마해 2파전이 형성됐다.
윤 의원은 명실공히 민주당 주류 세력이다.
26세 때 당직자로 입당한 뒤 33년 동안 자리를 지킨 '뼛속까지' 민주당 사람이다. 이해찬 대표 체제 당 사무총장으로 21대 총선을 이끌었고 지금은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을 맡고 있다. 부드러운 원칙주의자, 강단 있는 개혁을 내세운다.
박 의원의 경우 최근에는 주요 직책에서 한 발짝 물러서 있었지만 소장파, 쇄신파를 자처한다.
시작은 성균관대 부총학생회장, 즉 86 운동권 출신이다. 야당 시절이던 20대 국회 초반 원내수석부대표로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결의 과정에 활약했고 집권 직후에는 당 수석대변인을 맡았다. 변화와 혁신, 소통의 리더십을 자임한다.
윤 의원이 우세하다는 평가가 대체로 많지만 재보선 참패 이후 이른바 '친문 책임론'이 불거지면서 박 의원 쪽 기세도 만만찮다.
원내대표 선거는 투표권이 일반 국민이나 당원이 아니라 당 소속 국회의원들에게 있는 터라 향배가 쉬이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비교적 계파가 뚜렷하지 않고 친분이나 이해관계가 덜 얽혀 있는 81명의 초선 표심이 결과를 좌우할 공산이 크다.
◇ 개혁이냐, 협치냐
중요한 건 결과에 따라 당의 지향점이 갈릴 수 있다는 점이다.
윤 의원은 '멈추지 않는 개혁'에 힘을 싣는다.
15일 토론회에서도 윤 의원은 개혁과 협치 우선순위를 묻자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개혁"이라며 "협치는 우리가 선택할 대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일종의 협치 계약이 있지 않는 한 협치는 불가능하다"며 "적당히 상임위를 나눠 가진 뒤 발목잡기 하는 것은 협치가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박 의원은 민심과 당심의 괴리 극복, 그리고 야당과의 관계 회복에 주안점을 둔다.
같은 질문에 박 의원은 개혁을 이뤄내기 위한 방법으로 협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국회는 여당도 있고 야당도 있는데 그걸 반영해서 전체 국민을 대변하는 기관"이라며 법사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상임위원장 구성에 재협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