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가계부채(가계신용 기준)와 기업부채(자금순환 기준)를 합한 규모는 역대 최대인 3879조 6천억 원이었다.
지난해 말 민간부채는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215.5%(추정치)로 전년말 대비 18.4%포인트 상승했다.
민간(가계·기업)의 빚이 나라경제 규모의 두배를 웃돌았다. 증가폭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75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소득대비 채무부담이 크게 늘었다. 처분가능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말 현재 175.5%(추정치)로 1년 전에 비해 13.2%포인트 증가했다.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7년 이후 최고다.
작년 말 기업신용은 2153조 5천억 원(추정치)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금융기관 기업대출은 1359조 4천억 원으로 15.3% 증가했다.
기업대출은 코로나19 관련 자금수요 및 정부‧금융기관의 금융지원 등으로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GDP 대비 가계신용의 갭은 5.9%포인트로 전년말 대비 5.6%포인트 늘었다. 글로벌 금융위기(08.2분기 1.7%포인트) 이후 가장 큰 수준이다.
신용갭은 민간부채의 위험이 얼마나 누적됐는지 평가하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잠재적인 신용위험 가능성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가계‧기업의 빚이 치솟으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경고음이 켜지고 있다. 금리가 인상되거나 정부지원조치 등이 종료되면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가계부채의 경우 고용 및 업황 부진 등으로 소득이 나아지지 않으면 채무상환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한국은행은 지적했다.
또 향후 경기회복이 차별적으로 진행되면서 취약가구 등을 중심으로 부실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 경제충격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기업 재무건전성도 악화되는 모습이다. 지난해 1~3분기 2248개 기업의 매출액이 크게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항공, 숙박음식, 석유화학 업종 등을 중심으로 매출액 감소폭이 2019년 2.0%에서 6.0%로 크게 확대됐다.
한국은행은 "부문간, 업종간 경기회복이 불균등하게 진행되면서 정부지원조치 등이 종료되는 시점에 취약 부문을 중심으로 신용리스크가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