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롯데택배를 운영하는 롯데글로벌로지스는 오는 15일부터 기업 고객에게 평균 택배 단가를 135원 올리기로 했다.
가로, 세로, 높이의 합의 80cm 이하인 소형 상자의 경우 운임비가 기존 1750원에서 1900원으로 150원 인상된다.
80cm 이상의 중형화물은 1950원에서 2150원, 100cm 이상은 3500원에서 4000원으로 요금이 오를 전망이다.
롯데택배는 "사회적 합의기구에 따른 택배운임 현실화 조치에 따라 택배비를 인상했다"며 "평균 인상 비용이 135원인 만큼 소비자들의 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택배 시장 점유율 50%를 기록하는 업계 1위 CJ대한통운과 2위 한진(13.8%)는 택배비 인상에 "아직은 인상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들 업체는 "국토부의 택배비 현실화 용역이 진행중이어서 상반기 내에 도출되는 결과를 보고 판단할 것으로 보인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그렇다면 업계 3위인 롯데는 왜 이같은 '돌발' 행동을 한 걸까.
명절을 앞둔 지난 1월, 총파업을 예고하며 팽팽하게 맞붙었던 택배 노사는 정부의 중재안에 극적으로 합의했다.
노사는 장시간 노동과 과로사의 원인으로 지목된 분류작업 업무를 택배기사의 업무에서 배제하기로 했다.
분류작업 전담인력을 투입과 비용은 택배사의 몫이 됐다.
롯데는 2월까지 1000명의 분류 지원 인력을 투입하겠다는 자체 과로사 방지 대책을 내놓은 바 있지만, 분류 작업이 택배사의 책임으로 바뀌면서 수천명의 인력을 추가로 배치해야 했다.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투자 비용은 별도로 하더라도, 당장 분류작업을 위한 인건비를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을 올리면 고객을 경쟁사에 뺏길까과 서로 출혈 경쟁을 하던 게 업계 현실"이라며 "그럼에도 롯데가 가격을 인상한 데는 사회적 합의기구 시행에 대한 비용 부담이 컸던 것 같다"고 말했다.
롯데처럼 가격인상을 '전격' 단행하지는 않았지만 업계에는 가격을 현실화해야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CJ대한통운과 한진은 지난해 단가가 낮은 고객사를 대상으로 택배비 현실화 작업을 꾸준히 진행중이다.
관계자는 "롯데가 선제적으로 가격을 인상했지만 국토부의 택배비 인상 용역 결과에 따라 업체별로 가격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한편 사회적 합의기구는 오는 9일 2차 회의를 갖고 5월 합의안을 도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