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해양바이오시장 규모 1.2조원

선도국과 기술 격차 및 소재 수입 의존도 완화
해수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 발표

해양생물.
정부는 세계 해양바이오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의 규모를 1조 2천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선도국과의 기술 격차와 소재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로 했다.


해양수산부는 14일 해양바이오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세계 해양바이오시장 선점 전략'을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발표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내 해양바이오시장 규모를 1조 2천억 원 수준으로 확대하고 최고 기술국 대비 85% 수준의 해양바이오기술을 확보하며 소재 수입 의존도를 50%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산업기반 조성과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혁신 전략을 추진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해양바이오 산업기반 조성을 위하여 해양바이오뱅크를 통해 해양생물이 갖는 항암 등 주요 효능 정보를 등급화하여 제공하고 무상으로 소재를 분양하는 등 기업들의 산업화 소재 발굴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업계 수요가 높은 핵심소재의 경우 대량생산기술을 개발하고 기술 검증을 위한 실증시험장과 해양소재에 특화된 생산시설을 구축하여 제품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연구개발 성공 후 임상 통과의 어려움, 제품생산 기반 부족 등으로 사업화에 실패하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산업화 단계별 지원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또한 창업기업 등의 기술 개발 자금을 지원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사업화를 촉진하며 우수 해양바이오 제품의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 국제인증 획득을 위한 컨설팅 및 소요 비용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해양바이오 생산시설 조감도.
해수부는 해역별 특성에 맞춰 해양바이오 특성화거점을 조성하고 지역 중심의 인프라 연계와 성과 창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서해권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과 2023년에 준공할 예정인 해양바이오 산업화 인큐베이터를 중심으로 기업들의 사업화 과정 전반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2025년까지 인천항 배후부지에 해양바이오 특화단지를 지정하여 해양바이오 기업에게 장기 임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해권은 국내 최대 해조류 생산지인 점을 활용하여 바이오 소재 생산시설 등을 구축하여 소재 공급기지로 개발하고 동해권은 기존 연구 인프라와 연계하여 기초 및 융복합 연구 거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해수부는 해양바이오 연구개발 혁신을 위하여 수요자의 연구개발 참여와 전문가 그룹 간 연계를 강화하여 우수한 연구 성과가 사업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해양바이오 연구개발을 통해 사회적 수요가 높은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부가가치가 높은 식품가공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수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홍합 단백질의 접착성분을 이용하여 흉터없이 상처를 봉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를 개발하는 등 해양바이오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성과가 나오기 시작했다"며 "이번 대책을 근간으로 삼아 해양바이오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