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현실적 이유로 미국 주도 대이란 제재에 협조하고는 있지만 대체로 원만한 관계를 유지해왔기 때문에 뭔가 다른 속내가 있는 것 아니냐는 판단에서다.
양국은 지난해 코로나19 확산 속에도 인도적 교역 확대를 꾀해왔고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의 이란 방문도 예정돼 있던 터라 매우 의외의 사건으로 해석된다.
외교부는 일단 5일 오후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 이란대사를 초치해 항의하고 사건 경위 해명과 조속한 억류 해제를 요구했다.
샤베스타리 대사는 '선원들은 안전한가'라는 취재진 질문에 "모두 안전하다. 건강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선사 측은 해양 오염 사실을 극구 부인하고 있고 나포 해역도 공해상이었다고 주장했다. 설령 이란 측 발표가 사실이라 해도 선박 억류까지 할 사안인지는 의문시된다.
따라서 이란이 한국 내 은행에 동결돼있는 원유 수출대금 약 70억 달러(7조 6천억원)를 풀기 위한 목적이 배경에 깔린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양국은 원유 수출입에 대한 상계 방식의 원화결제시스템을 운용해왔지만 2018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이란 핵합의(JCPOA) 탈퇴 여파로 중단된 상태다.
강력한 제재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이란으로선 70억 달러의 묶인 돈을 푸는 게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한국보다는 오히려 미국과 기타 동맹국을 겨냥했거나 아니면 둘 다 의식했을 가능성도 높다.
외신들은 이란 핵합의 복귀를 공약으로 내건 바이든 정부 출범을 앞둔 시점도 주목하고 있다.
미국 CNN방송은 "걸프해 선박 통항에 대한 이란의 잠재적 영향력을 상기시키는 위험도 낮은 행동"이라며 상대적으로 중립적 위치의 한국이 희생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