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컬 제작사 10곳으로 꾸려진 한국뮤지컬제작자협회는 30일 출범과 동시에 내놓은 호소문에서 "현재 뮤지컬계는 코로나19로 인해 유례없는 절대적인 위기를 맞았다"며 "사실상 지금 우리는 셧다운 중"이라고 전했다.
협회에 따르면 대형 뮤지컬 1편 제작비는 약 30억~150억원 내외다. 대극장 공연 손익분기점 달성을 위한 유료점유율은 60~70% 내외인데,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코로나19로 인한 예매 취소율은 65.9%에 달했다. 상반기 공연 매출 피해액만 약 1400억원으로 추정된다.
협회는 "정부 발표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상향에 따라 전액 환불과 70%, 50% 점유율로 재오픈을 반복했다"며 "제작자는 상당한 기간 매출이 발생하지 못한 것에 반해 공연 제작비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 공연장 대관료 부분은 코로나19 상황 전 체결된 계약서를 원칙으로 고수하면서 기존의 방침 대로 유지해야 하는 상황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좌석 띄어 앉기를 두고도 "문화예술 동종업계인 영화계만 보아도 2.5단계의 경우 영화관 좌석 한 칸 띄어 앉기에 해당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며 "그에 비해 취식도 허용되지 않고 그간 감염 전파 사례도 전혀 없었던 공연장의 경우 좌석 두 칸 띄어 앉기로 시행되고 있어 실질적으로 셧다운보다 더 힘들고 냉혹한 현실을 마주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2.5단계에서 좌석 두 칸 띄어 앉기 조치는 실질적으로 공연 진행이 불가능한 희망 고문"이라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에 따른 공식적인 좌석제 공표가 필요하며 2.5단계에도 좌석 두 칸 띄어 앉기 조치를 재고해 주길 간곡히 부탁한다. 또한 거리두기 단계에 따른 민간 공연장 대관료를 조정할 수 있는 조치 또는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특히 협회는 "한시적 부가세 면제 혜택 등 세금 혜택을 통해 공연 제작을 장려하고 문화체육관광부의 2021년 예산 재원을 활용한 긴급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향후 정부 보증으로 저금리 융자, 투자활성화를 위한 뮤지컬 펀드와 같은 기금 마련·운영 등 정부의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지원이 위기에 빠진 뮤지컬 산업을 지속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한국 뮤지컬 세계화와 발전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