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준공…해수전지 개발 본격화

14일 준공식 정세균 총리 방문…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상용화 기대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기공식이 지난 2019년 3월 13일 오전 UNIST 신축 공사현장에서 열렸다. (사진=UNIST 제공)
울산형 그린뉴딜사업을 이끌 친환경 에너지 연구의 전초기지가 문을 연다.


울산시는 오는 1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송철호 울산시장, 이용훈 UNIST 총장, 박병석 시의회 의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 준공식'을 개최한다.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는 사업비 184억 원을 들여 UNIST 내 연면적 5443㎡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됐다.

주요시설로는 계면물리 및 화학연구실, 스마트에너지 재료연구실, 물환경정보화학연구실 등이 갖춰졌다.

연구센터는 친환경 에너지저장장치인 해수전지를 연구한다.

해수전지는 바닷물 속 소듐(나트륨) 이온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다.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인 이차전지로 주목받는다.

연구센터는 해수전지 충·방전 과정에서 해수 담수화, 살균, 수소 생산, 이산화탄소 포집 등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활용해 실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제품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그동안 한국전력공사와 한국동서발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의 지원을 받아 해수전지 상용화를 위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 왔다.

올해 5월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역 활력 프로젝트 사업'에 선정돼 지역 업체들과 해수전지를 적용한 어구용 부이, 등부표 등 제품 제작과 실증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용훈 UNIST 총장은 "울산은 최근 그린 뉴딜과 디지털 뉴딜로 산업과 기술의 한 단계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라면서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가 우수한 연구를 하고 인력을 양성해 울산이 신에너지 선도도시로 도약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해수전지, 이차전지 등 미래형 전지 산업은 울산의 그린 뉴딜을 이끌어갈 중심 산업이 될 것"이라면서 "해수자원화기술 연구센터가 친환경 미래로 향하는 여정의 중요한 거점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