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이사장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27회로 1986년 당시 재무부에서 공직을 시작한 정통 관료 출신이다. 이후 금감위 은행감독과장, 금융서비스국장, 상임위원을 거친뒤 증권금융 사장을 거쳐 거래소 이사장이됐다. 금융당국 안팎에서도 "3관왕까지 하는 건 너무 한 거 아니냐"는 뒷말이 나왔다.
손보협회는 오는 13일 회원사 총회에서 그를 회장 후보로 단독 추천해 회장 선임 안건을 논의한다. 사실상 내정된 상태라 총회에서도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취업 심사를 거쳐야 한다. 다음달 21일쯤에야 취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생명보험협회에서는 진웅섭 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연합회에서는 최종구 전 금융위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다른 후보자들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지만 협회나 연합회 측에서 관료 출신의 '힘 있는' 후보자를 원한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감독당국 수장들이 너무 이른 시점에 협회장이나 연합회장으로 옮기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따르고 있다. 진 전 원장은 2017년 9월 퇴임, 최 전 위원장은 2019년 9월에 퇴임한 바 있다. 이들이 감독당국 수장으로 있을 때 함께 일했던 임원들이 여전히 금융당국에 포진해 있다.
3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도 모두 '금융 관피아'로 묶인다. 방문규 수출입은행장과 윤종원 기업은행장 모두 행시 28회, 27회 출신으로 재무부 등을 거친 이력이 있다. 이동걸 산업은행장은 고시 출신은 아니지만 금감위 부위원장 경력이 있어 관료 OB로 분류된다.
세월호 사건을 계기로 관피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거세지면서 민간 출신이 한동안 금융권 기관장, 협회장으로 부상했지만, 정권이 바뀌자 또 언제 그랬냐는듯 관료 출신들이 모두 자리를 꿰차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몇년 전 만해도 관료 출신의 후보들이 거론되면 "절대 아니다"라고 부정하던 협회 등도 "실제로 일해 보면 힘이 센 관료 출신이 수월한 건 사실"이라면서 모피아를 원하고 있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대표는 "전직 관료를 협회장에 임명해 순리에 맞지 않는 일까지 추진하려다 보면 소비자 후생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금융협회장의 월급도 결국 소비자의 지갑에서 나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금융협회장 등의 자리에 모피아를 선임하는 건 문재인 정부의 나라다운 나라, 정의와 공정에 정면 배치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