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은 7일 일제강점기인 1926년과 1929년에 조사했던 경북 경주 서봉총을 2016∼2017년 재발굴한 성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이같이 발표했다.
서봉총은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신라 왕족의 무덤 중 하나다.
서기 500년 무렵 축조됐으며 먼저 만들어진 북분에 남분이 나란히 붙어 있는 쌍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따르면 재발굴에서는 무덤 둘레돌(호석·護石) 주변에 큰 항아리를 놓고 무덤 주인에게 음식을 바친 제사 흔적이 발견됐다.
이곳에서는 총 27개의 제사용 큰 항아리가 발굴됐는데 북분에 10개, 남분에 13개가 있고, 경계가 모호한 것이 4개 있다.
27개의 큰 항아리에서는 종(種)과 부위를 알 수 있는 동물 유체 총 7천700점이 확인됐는데 조개류가 1천883점, 물고기류가 5천700점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남분에서 발굴된 큰 항아리들에서는 조개, 물고기 이외에 바다 포유류인 돌고래, 파충류인 남생이, 성게류가 확인됐고, 신경 독을 제거하지 않으면 먹기 어려운 복어도 발견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재발굴은 일제가 밝히지 못한 무덤의 규모와 구조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성과도 거뒀다.
일제는 북분의 직경을 36.3m로 판단했으나 재발굴 결과 46.7m로 밝혀졌다.
또 돌무지덧널무넘(적석목곽분)의 돌무지는 금관총과 황남대총처럼 나무 기둥으로 가설물을 먼저 세운 뒤 쌓아 올렸다는 사실이 최초로 확인됐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지면 아래에 구덩이를 파고 나무 덧널을 조성한 뒤 돌을 쌓아 올리는 고분 양식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14년 서봉총 출토품 보고서를 간행하고, 서봉총 재발굴 이후 이번에 그 성과를 담은 유적 보고서를 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