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지난해 최초로 실시한 '2019 국가인권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한국에서 '차별'이 심각한지를 묻는 질문에 69.1%가 '심각하다'고 답했다. '심각하지 않다'고 응답한 비율은 30.8%였다. 반면 우리 사회에서 '인권침해'가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54%로 다소 낮았다.
국민들은 우리 사회에서 인권침해 또는 차별을 많이 받는 집단으로는 장애인(29.7%)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이주민(16.4%), 노인(13.4%), 여성(13.2%) 순이었다.
인권침해나 차별을 당하기 쉬운 조건에 대해서는 빈곤층(29.6%)을 가장 많이 꼽았고, 학력·학벌이 낮은 사람(18.9%), 전과자(16.2%), 비정규직(12.9%)이 뒤를 이었다.
특히 인권침해나 차별이 발생하기 취약한 상황으로는 28.9%가 '경찰·검찰 조사나 수사를 받을 때'를 꼽았다. '재판받을 때'(16.7%)와 합하면 사법 절차 과정에서 인권침해 또는 차별을 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45.6%에 이른다.
이외에도 '구직·취업할 때'(28.6%)나 '공무원과 업무처리할 때'(9.2%), '병원 진료받을 때'(6.6%)도 인권침해나 차별이 일어나기 취약한 상황이라고 답했다.
다만 나이가 많아질수록 본인의 인권이 존중받지 못한다는 비율이 높아졌다. 본인 인권이 존중받지 못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20대는 23%인 반면 50대~60대 이상은 각각 34%, 31%였다.
응답자의 학력이나 소득 등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우리나라의 인권 상황이 개선됐다고 답한 비율도 높았다. 가구 월소득 600~1000만원인 경우 75% 이상이 인권 상황이 개선됐다고 응답했지만, 월소득 200만원 이하인 경우 개선됐다는 응답은 60%에 미치지 못했다.
아울러 대학원 이상 학력의 77%가 국내 인권상황이 개선됐다고 응답했지만, 중졸 이하는 57%, 고졸 이하는 59%만이 개선됐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인권위 주관, 통계청이 실시한 것으로 지난해 8월 20일부터 9월 2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만 3077명이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