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등 국제사회가 코로나19 책임론을 제기하며 파상공세를 펴고 있는 상황에서 시 주석을 구심으로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의도로 보인다.
중국식 선전매체에 익숙하지 않은 외부인에게는 중국이 북한과 다를 바 없다는 생각을 갖게 할 정도로 거북할 수도 있지만 이 기사는 다음날 다른 관영매체는 물론 각급 지방정부, 정부 기관 홈페이지에 일제히 올랐다.
신화통신 기사에 따르면 1월 23일 내려진 우한 봉쇄 조치는 시진핑 주석이 정치적 용기를 갖고 내린 결정이었다.
시 주석은 앞서 7일 중국공산당 정치국 상임위원회에서 전염병 예방과 통제에 대한 명확한 지시를 내렸다.
그럼에도 코로나19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자 20일 전염병 확산을 적극 억제하라고 재차 지시한 데 이어 1천만 명이 넘는 거대 도시를 봉쇄하는 사상 초유의 결단을 내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1월 7일 회의에서 시 주석을 지칭하는 '중앙 영도인'이 "예방 조치에 주의를 기울이되 이로 인해 지나치게 공포심을 불러 다가오는 춘제 분위기를 망치지 말라고 지시했다'는 홍콩 언론의 보도와는 완전히 결이 다른 것이다. 초기 방역실패로 인해 코로나19가 요원의 불길처럼 번진 데 대한 책임론도 언급되지 않았다.
시 주석은 우한 봉쇄 이후 밤잠을 못자며 전염병과의 전쟁을 진두지휘했는데 초기감지, 조기보고, 조기격리, 조기 치료 등의 원칙을 제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심지어 리커창 총리가 바로 우한 방역현장에 달려갔지만 시 주석은 한동안 두문불출하다 상황이 비교적 안정된 베이징의 방역 현장을 방문한 것에 대해서도 방역사의 주요 사건으로 언급했다.
신화통신은 시 주석이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과 2019년에도 8개 분야 16개 세부 위험을 열거하면서 사스와 같은 중대한 전염병에 대해서 항상 경계해야 한다고 했던 사실도 상기했다.
그러면서 당중앙의 깨어있는 판단은 결코 위험한 말이 아니라면서 코로나19가 샤오캉 사회 건설과 빈곤탈출의 고비에서 경종을 울렸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하지만 신화통신은 3월 2일 시 주석이 칭화대학 등을 방문했을 때 '코로나19 근원을 파악하라'고 지시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두루뭉술 넘어갔다.
미국 등이 코로나19 기원을 조사하자고 공세를 펴는 상황에서 전염병의 근원을 조사하라는 과거 발언을 꺼내 사태를 악화시키고 싶지 않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