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까지 삼성 주요 임원들을 비롯한 핵심 관계자들을 줄 소환해 조사를 이어간 검찰은 이 부회장을 불러 2015년 합병과, 제일모직의 자회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의 회계 처리 등이 경영권 승계의 일환으로 이뤄졌는지를 집중적으로 캐물을 계획이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 사건을 수사해 온 서울중앙지검 경제범죄형사부(이복현 부장검사)는 다음주 중으로 이 부회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1월 세워진 공개소환 폐지방침에 따라 출석은 비공개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늦어도 다음 달 초까지는 이번 사건을 마무리하겠다는 계획 하에 피의자들의 혐의 내용을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실제로 검찰은 옛 삼성 미래전략실(미전실) 핵심관계자들을 최근 2주 연속으로 소환해 조사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올리는 기류다.
미전실은 삼성의 '컨트롤타워'로서 이 부회장에게 유리하게 합병 전략을 짰다고 지목된 곳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문건 등을 확보한 검찰은 이 부회장을 곧 불러 미전실의 전략을 보고 받고 관련 지시를 했는지 여부도 면밀하게 따져볼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의 합병과, 삼성바이오의 회계처리가 이 부회장의 그룹 지배력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불법적으로 이뤄졌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 부회장의 지분이 많았던 제일모직에 유리한 합병 비율을 만들기 위해 삼성물산이 회사 가치를 고의로 낮췄는지가 주요 수사 대상이었다. 당시 합병 비율은 '1 대 0.35'로, 제일모직 1주가 삼성물산 주식의 3배에 달했다.
이와 관련, 한 언론이 미전실이 합병 전 작성한 문건이라며 공개한 내용엔 합병 비율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을 수 있는 만큼, 주가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문구도 포함됐다. 실제로 삼성물산은 2015년 상반기 공급 아파트가 300여 가구에 불과했지만, 제일모직과 합병 결정 뒤인 7월 서울에 1만900여 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미전실 계획이 그대로 실행된 것 아니냐는 물음표가 나오는 대목이다.
결국 이 부회장의 지배력을 확대를 위해 삼성물산의 가치는 일부러 떨어뜨리고, 제일모직의 가치는 부풀리는 방식의 부당한 합병이 이뤄졌는지가 핵심 의혹인 셈이다.
의혹의 정점인 이 부회장 조사 이후 사건 관련자들에 대한 검찰의 신병처리 방향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긴 시간 이어져 온 수사인 만큼,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올해 초 이 사건을 수사해 온 지휘부가 교체된 점도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법조계 일각에서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