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증가폭이 지난 5일과 6일, 이틀 연속 47명을 기록했다.
앞서 정부가 지난 4일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을 발표하면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기 위한 목표 중 하나로 신규 확진자가 50명 이하로 줄어들어야 한다고 밝혔는데, 곧바로 이 목표가 달성된 셈이다.
이에 대해 코로나19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부본부장은 "시기적으로 볼 때 지난달 22일부터 시작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1주차의 효과가 이제 나타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보통 환자들이 1~2주 간의 잠복기를 보낸 뒤 증상이 발현된 뒤에 방역망에 포착되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거리두기의 성과를 확인하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이는 정부가 선택한 강도 높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실제 환자를 줄이는 데 효과가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한 '긍정적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겨우 이틀 동안 환자 발생 속도가 잠시 줄어든 것 만으로 국내 환자 발생 추이 자체가 변했다고 장담하기는 아직 이르다.
한림대 성심병원 이재갑 감염내과 교수는 "단 한 명의 환자라도 고위험 밀집시설과 연관되면 곧바로 수십, 수백명의 환자를 낳을 수 있다"며 "유흥주점 발병 사례도 해외 유입을 통해 소규모 감염을 일으켰는데, 이런 사례가 계속 나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 정형준 정책위원장은 "환자 발생 추세는 경향성을 봐야 하는데, 겨우 이틀 간의 변화로는 경향성을 아예 얘기할 수 없다"며 "1, 2주 동안 이런 추세가 이어져도 장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 당시 지역사회 감염이 없었고, 봉쇄전략을 선택했는데도 마지막 확진자 이후 14일 잠복기가 다 지난 뒤에야 종결을 선언할 수 있었다"며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면 강화된 거리두기를 더 이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더구나 숨겨진 감염 경로를 통한 대규모 집단 감염은 지금 이 순간에도 방역당국 모르게 시작됐을 수 있다.
시간을 거슬러 살펴보면 최소 5천명이 넘는 환자를 낳은 대구 이단신천지 슈퍼전파 사태가 밝혀지기 직전까지도 방역당국이 파악했던 국내 코로나19 환자 수는 겨우 서른 명에 불과했다.
지난 7일 0시 기준으로도, 국내 확진자 가운데 9.9%에 달하는 1025명은 아직 감염경로를 확인하지 못해 조사 중인 환자들이다.
만약 이들이 감염된 경로 중 어느 한 곳에서라도 고위험 밀집시설과의 접점이 있어 집단감염이 발생한다면 당장이라도 1일 확진자가 100여명 넘게 치솟을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신규 환자 감소 움직임이 일정한 경향으로 자리 잡으려면, 시민들이 앞으로도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잘 지키는 수밖에 없다.
더구나 2~3주 뒤에 환자 증가를 확인한 뒤에 거리두기 수위를 높이더라도, 이미 '방심'한 기간 동안 늘어난 환자들이 꼬리를 물고 계속 나타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가 추가 연장된데다 최근 환자 증가세가 주춤하자 벌써부터 시민들의 거리두기 참여율이 떨어지고 있다.
지난 6일 방역당국 조사에 따르면 이단신천지 집단 감염이 발생했던 지난 2월 말은 1월 대비 시민들의 이동량이 40%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부가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촉구했던 지난달 23일부터 29일 기간에는 국민들의 이동량이 오히려 다시 16%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자가격리 위반 사례도 속출하고 있어 격리조치를 위반한 사실이 적발돼 사법처리에 돌입한 경우가 67건에 달한다.
이에 대해 이재갑 교수는 "환자 발생이 많아지는 시점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한 뒤 2주 가량 지나서 나타날 수 있다"며 "만약 감염자들이 (지역 사회에서) 뒤섞이면 지금 당장이 아니라 다음 주, 다다음 주 문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사태 초기만 해도 28번째 환자까지는 감염경로도, 접촉자도 곧바로 확인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며 "어떤 상황이 벌어질 지 모르기 때문에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