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31일 이 같은 내용의 지난달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감염병 위기경보가 지난 1월 27일 '경계', 지난달 23일 '심각'으로 격상된 후 처음 집계된 사업체 고용지표로, "코로나19의 영향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게 고용부의 설명이다.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는 1848만 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만 3000명 늘어 0.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증가 폭은 지난달과 전년 동월에 각각 1.6%와 3.4%를 기록한 데 비해 크게 줄어든 것이다. 연도별로는 지난 2015년에 4.7%, 2016년 3.8%, 2017년 2.2%, 2018년 3.0%, 2019년 2.4%(잠정치)에 달했다.
증가 폭 둔화는 30인 미만 사업체에서 두드러졌다. 3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 증가 폭은 전월의 22만 8천 명에 비해 크게 줄어든 11만 명에 그쳤다. 다만 30인 이상 300인 미만과 300인 이상 규모에서는 전월과 증가 폭이 유사했다.
업종별로는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등에서 이 같은 둔화가 뚜렷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전년 동월 대비 5만 3000명이 줄어 4.2% 감소했고, 여행사, 렌터카, 콜센터, 여행사 등을 포함한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은 1만 2000명이 줄어 1.0% 감소했다.
공연업 등이 포함된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도 600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는 10만 6000명(6.1%)이,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에서는 4만 명(5.4%)이,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에서는 3만 2000명(3.1%)이 증가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타 종사자 수를 제외한 상용·임시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지난달 입·이직자 통계도 역시 전년 동월 대비 줄어든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달 중 입직은 79만 4000명, 이직은 93만 1000명을 기록했다. 전월 대비 각각 11.3%와 28.8% 늘어난 수치다.
결과적으로 지난달 상용·임시일용근로자의 수는 전월인 1월보다 13만 7000명 감소했다.
이직자의 증가 역시 주로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사업시설 및 임대서비스업 등에서 발생했다.
특히,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전체 43만 4000명 가운데 숙박 및 음식점업에서 8만 2000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에서 3만 8000명을 기록해 각각 전년 동월 대비 13.7%, 30.7% 올랐다.
노동부 임서정 차관은 "코로나19에 의한 경제활동 위축이 고용상황에 어느 정도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지역별 종사자 수 증가세도 전반적으로 둔화됐다.
대구 경북, 경남 등은 종사자 수가 아예 감소했다. 대구는 종사자 수가 74만 1000명, 경북은 84만 5000명, 경남은 107만 6000명을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2%씩 줄었다.
경기, 서울, 대전 등 역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을 중심으로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노동부는 이 같은 상황에 대응해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코로나19 피해 취약계층 생계지원 추가 대책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추가 발표될 다른 지표들의 전망 또한 밝지 않을 것이란 게 노동부 입장이다.
임서정 차관은 "해당 통계는 2월 말이 기준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사태의 상황이 완전히 반영돼있다고는 보기 어렵다"며 "3월은 훨씬 더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통계를 통해 더 잘 드러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근로자 1인당 월 평균 임금은 늘어난 반면 근로시간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월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임금 총액은 409만 2000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했다. 반면 전체 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은 157.6시간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5시간 줄어들어 9.0% 감소했다. 다만, 근로시간 감소는 해당 기간 근로일 수가 19.3일로 전년 동월 대비 1.9일 감소한 데 기인한다고 노동부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