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100조원'이라는 상징적인 수치를 내세우면서, 정책의 대상으로 작은 기업과 자영업자, 근로자 등을 언급했다.
물론 김 위원장이 방법론에서 추가가 아닌 경정, 즉 기존 예산을 새롭게 다시 짜는 방안을 제시한데 대해선 더불어민주당 등 범진보진영에서는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또 금액면에서도 "이미 추경과 기업 지원 금액(100조원) 등을 포함하면 130조원에 달하는 각종 대책을 실행하고 있다"는 게 민주당 쪽이 설명이다. 이를 놓고는 추후 치열한 논쟁이 불가피해졌다.
그러나 김 위원장이 미래통합당의 총괄선대위원장 자격으로 이날 처음 내놓은 경제 대책은 실현 가능성을 떠나 정책 대결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한 정치권 인사는 "김 위원장이 새로운 버전의 경제민주화 화두를 던졌으니, 가뜩이나 코로나로 깜깜이 선거로 흐르는 와중에 정책 대결의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김 위원장이 이날 내놓은 중도 전략은 유권자들에게 수권 정당의 이미지를 심어주는 게 목적인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정부에 대해 "지난 3년간 잘한 것이 하나도 없고 나라를 경영할 능력도 없다는 걸 스스로 드러낸 정권은 심판받아 마땅하다"고 평가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온 발언이다. 즉 지금 정부보다 더 나은 모습을 만들 수 있다는 것으로 승부를 걸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하려면 기존의 통합당 노선의 대폭적인 수정을 동반해야 한다.
김 위원장은 통합당에 대해 "제가 책임지고 포용하는 정당으로 바꿔서 재난 상황을 겪으면서 더 많아지고, 더 어려워진 이 사회의 약자를 품고 동행하겠다"고 천명했다.
보수 정당들도 선거철이 오면 서민.중소업체를 위한 대책을 내놓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 규제 완화.법인세 감면 등 시장경제 우위의 대기업 중심 정책을 포기한 적은 없다.
선대위원장으로 구원등판한 김 위원장이 내세운 새로운 버전의 경제민주화에 대해 통합당이 얼마나 받아 들일지, 아니면 강하게 저항할지가 '김종인 효과'를 가늠할 첫 관문이 될 수밖에 없다.
그의 뜻대로 통합당이 '사회적 약자'를 중심에 두는 정당이 된다면 정치 지형의 큰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민주당과는 방향이 아닌 방법을 놓고 대결하는 상황도 가능하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를 맡았고, 지난 2012년 대선에서는 당시 새누리당 박근혜 전 대통령 대선 캠프에서 활동했지만, 양당 모두 자신의 정책을 버렸다고 비판해 왔다.
선거때마다 몸을 실은 정당의 승리에 일조했던 김 위원장이 자신의 정책적 소신을 관철시킬 3번째 장(場)이 마련됐다. 다만 주변 여건이 과거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이 때문에 공천이 다 끝난 이후 정책에 변화를 준다고 통합당이 체질적으로 변할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적지 않다.
조성대 한신대 교수는 "김 위원장의 경제민주화가 한번 새누리당에서 실패했는데 지금은 그 이상의 담보를 받고 통합당으로 갔는지 의문"이라며 "통합당이 반전의 카드로 김 위원장을 총선에서 활용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