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 송 : FM 98. 1 (18:20~19:55)
■ 방송일 : 2020년 2월 19일 (화요일)
■ 진 행 : 정관용 (국민대 특임교수)
■ 출 연 : 김신우 (경북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 정관용> 대구지역 대구시 감염병 관리지원단장 맡고 계신 경북대학교 감염내과 김신우 교수를 연결해 봅니다. 김 교수님, 안녕하세요.
◆ 김신우> 안녕하십니까?
◇ 정관용> 아니, 역학조사관 역할을 할 공무원이 3명뿐이에요 대구시에? 지금도 3명이에요, 아니면 추가 충원이 됐나요?
◆ 김신우> 원래 있는 자리에 공무원들로 있는 분들은 3명이지만 지금 지원단에 있는 분이라든지 각 민간의 교수들을 민간역학조사관으로 임명해서 같이 일하고 있습니다. 물론 행정적으로 기존에 있는 공무원들이 하는 역할은 그 일만 하니까 훨씬 효율적이고 훈련되어 있겠지만 민간역학조사를 도와주고 있다는 것을 일단 말씀드립니다.
◇ 정관용> 그런데 지금 하루 사이에 이렇게 많이 확진자가 나오고 또 신천지 교인들 하나하나 또 접촉해 나가고 하다 보면 인력 부족하지 않을까요?
◆ 김신우> 맞습니다. 저희들 감염병이나 감염에 대응하는 인력들이 늘 부족한데 위기상황을 늘 이렇게 준비하는 그런 장기적인 비전이나 그런 계획이나 이런 것의 실천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 정관용>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됐다고 봐야 됩니까? 어떻게 판단하세요?
◆ 김신우> 29번, 30번 이렇게 생길 때 우리가 감염원을 찾기 어려운 사람이 와서 우려된다 이렇게 했죠. 31번 그 이후에 오늘까지 급격한 증가가 있는 것을 보면서 새로운 국면에 들어왔다, 지역사회 감염이 생각보다 많다. 그래서 또 지금 신천지 쪽에서 많은 환자가 발견되었지만 중간중간 지금 서울이라든지 다른 지역에서도 감염원이 밝혀지지 않는 사람들이 나오는 것을 보면 지역사회 감염이 생각보다 많다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이미 지금 대구 지역에 많은 전파를 시킨 31번 환자도 어디서 감염됐는지를 모르고 있는 거 아닙니까?
◆ 김신우> 31번 환자가 먼저 발견되고 이 사람들이 나와서 이 31번이 많이 감염을 시켰을 가능성이 많지만 그 외에도 31번도 그전에 대구 교회라는 곳을 다니시는데 다른 원인이 있어서 이 사람이 먼저 발견되고 발견되니까 다른 사람들도 검사를 하게 되고 전부 다 그렇게 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어서 그 후자의 경우도 다른 환자들이 발생할 위험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즉 31번 환자가 다른 쪽에 옮긴 게 아니라 오히려 다른 쪽에서 옮겼는데 먼저 발견됐을 뿐일 수도 있다.
◆ 김신우> 그런 두 가지 가능성을 전문가들이 대부분 생각하고 있습니다.
◇ 정관용> 그러면 어떤 환자가 어떻게 어디서 왔는지는 이제 전혀 모르는 그게 커지면 지역 감염, 지역 확산 아니겠습니까?
◆ 김신우> 그렇죠. 이렇게 모여 있는 사람들이 발생할 때 클러스터라고 보통 이야기하는데 클러스터가 다음 지역사회 감염원이 되는 아주 중요한 거점이 되는 수가 많아서 우려되는 거고 이것을 통제하기 위해서 대구시는 즉각적으로 전수를 조사하겠다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죠.
◇ 정관용> 그러니까 대구 교회에 그때 같이 있었던 전수조사 그 정도면 되는 겁니까? 또 어떤 방역 대책의 변화가 필요한가요?
◆ 김신우> 전수 조사를 하는 게 틀렸던 건 아니고 최대한의 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전수조사를 하더라도 다른 빠져 있는 사람 또 적극적이지 않은 사람, 조사에 응하지 않는 사람 등 전염 외에도 그 시간 외에 9000에서 1만 명 정도의 교인이 있다고 돼 있어요. 다른 소스가 특별히 있으면 더욱더 통제가 어렵고 지금 다른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다른 도에서도 조금 나오고 있는 부분들을 보면 쉽게 이렇게 지금 접촉자 관리를 열심히 한다고 해서 다 통제되지 않을 가능성이 많은 그런 상황입니다.
◇ 정관용> 그렇게 다 통제가 안 되고 환자 숫자는 점점 늘어나고. 이렇게 되면 그때는 어떤 방법을 써야 됩니까?
◆ 김신우> 지금 계속하다가 계속 해결이 안 되는 경우에는 가벼운 사람들에 초점을 맞추는 게 아니라 중증 환자들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서 가벼운 사람들은 이렇게 가까운 병원들을 소개하고 그곳에 이렇게 수용하는 그런 정책을 취하고 중증환자들을 3차 의료기관에 제대로 된 실사를 해서 열심히 치료를 해서 살아나실 수 있도록 하는 그런 전략이 향후에는 필요합니다.
◇ 정관용> 그 얘기는 중증으로, 그렇지 않은 증상이 그렇게 심하지 않은 분들은 그냥 일반 독감처럼 치료하는 수밖에 없다 이 말 인가요.
◆ 김신우> 네, 더 많아지고 이 단계를 넘어서는 게 뚜렷하게 보이면 그런 전략으로 가야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정관용> 지금 앞에 기자의 멘트를 보면 대구에 음압병상이 48곳 밖에 없다면서요?
◆ 김신우> 48곳도 이렇게 가만히 보면 전실과 그리고 제독실과 여러 음압카트와 제대로 갖춰지기가 좀 어렵거든요. 48개를 이용을 지금 당장은 다 못하고 있고 10여 개 하고 있다가 또 10여 개를 넘어서고 있을 때 48개를 쓸 계획이죠. 48개를 씀에도 불구하고 지금 숫자보다 더 많이 나오면 사실 전략도 바꿔야 되고 병동, 일반병동을 다 비우고 사용한다든지 이런 전략으로 바꿔야 되겠죠. 그러니까 앞으로 이런 음압병상에 대한 위기 같은 대응을 국가가 좀 더 지원해서 평소에 마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48개라고 제가 들었는데 방금 교수님 말씀은 실제 사용 가능한 건 10여 개다. 이미 그러면 넘친 거 아니에요? 확진 환자 수?
◆ 김신우> 현재는 그런 거죠, 현재는. 현재라고 하면 이 정도를 사용하고 또 검사하고 퇴원시키고 이런 과정들을 하고 있는 게 제대로 된 음압병상을 사용을 하고 나서 음압병상 중에서도 예를 들면 제독실도 없고 음압카트도 없고 이런 경우들이 있거든요. 그렇지만 수용을 지금 해서 이 정도인데 더 넘치면 일반 병상을 써야 되고 하는 것들. 병실 짓는 것은 금방 되는 게 아니니까.
◇ 정관용> 그렇죠. 준비를 해야 되죠.
◆ 김신우> 부족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정관용> 중앙정부에 요청 하실 제일 급한 상황은 뭡니까,
◆ 김신우> 첫째는 지금 해 줄 수 있는 것은 물자를 공급하는 게 제일 중요하겠죠. 그리고 검사를 적극적으로 잘 하기 위해서 국가가 다른 나라에 비해서 검사 역량을 많이 키우는 데 초점이 많이 맞춰졌습니다. 그리고 의료인들이 많이 지쳐가는데 의료인들이 다른 행정력으로나 이렇게 열심히 일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나중에 이것이 보상 같은 것들이 안 되고 또 환자들이 안 오고 했을 때 병원의 손해로 되지 않도록 그런 지원을 약속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고요. 이건 단기적이고. 장기적으로는 이런 위기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제대로 된 감염병 전문병원이라든지 또는 감염관리가 손해가 되는 그런 게 아니라 감염관리를 열심히 하는 것이 수지타산도 맞고 도리어 더 이득이다 이렇게 되어야지 우리 의료시장에서 민간들이 열심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 같습니다.
◇ 정관용> 그렇죠. 장기적으로는 그렇고 단기적으로는 일단 뭐니 뭐니 해도 물자와 의료인력 그리고 의료인에 대한 지원 이거네요. 고맙습니다. 경북대학교 감염내과 김신우 교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