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서울연구원의 '광역·도시철도 네트워크 확장의 파급효과와 서울시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GTX 개통으로 철도 수요가 분산되면서 서울 지하철 혼잡도는 전반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GTX와 연결되는 삼성역, 서울역, 연신내역, 수서역, 양재역 등 주요 환승역은 수요가 20∼72% 늘면서 혼잡도 역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역의 경우 2호선 승강장에 시간당 최대 3천∼5천명이 몰리고, GTX-A·C가 만나는 지하 4층 승강장에 3천∼1만1천명, 지하 6층 위례신사선 승강장에는 1천700∼4천600명이 몰릴 것으로 분석됐다. 혼잡(첨두) 시간대 이용객을 모두 합하면 1만3천∼1만7천명에 이른다.
보고서는 "삼성역은 현재 설계에 반영된 빠른 환승과 편리한 동선 계획이 혼잡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더 혼잡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향후 10년 내 서울시 일대에는 GTX와 경전철을 포함해 15개 노선, 약 356㎞의 철도가 건설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철도 이용자는 약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광역·도시철도가 추가되면서 서울역, 청량리역, 삼성역, 수서역 등 주요 환승역은 9호선보다 더 혼잡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버스는 수요가 줄어 조정이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GTX-A가 개통하고, 면목선·난곡선·강북횡단선 등 서울시의 제2차 도시철도가 모두 건설되면 수도권 버스 운행 횟수가 하루 약 6천700회 줄어들고, 이에 따라 서울시 운행 버스도 현재 7천400대에서 5천∼6천 대로 조정 가능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용자의 불편을 고려해 버스 노선 축소나 폐지보다는 경유지 변경 등의 조정을 우선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환승역 혼잡 문제 해결 방안으로는 ▲ 이용자 동선과 행태를 고려한 환승 통로 및 플랫폼 설계 ▲ 혼잡 구간에 대체수단(출퇴근 맞춤버스 등) 도입 등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