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중국과의 외교 문제가 얽힐 수 있는 사안이기 때문에 정부 스스로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청와대는 병명 사용에 있어서도 중국의 지명이 쓰이는 '우한 폐렴'이 아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으로 보도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해당 청원에 대해 "논의하거나 하지 않았고, 전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고위관계자는 "현재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이동금지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하지만)이동금지 조치는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도)현 단계에서 WHO의 결정에 벗어난 상황은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전 세계에서 (입국금지 조치를) 취하는 곳은 북한외에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검토 한 바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이 청원자는 이어 "이미 우리나라에 (바이러스가) 상륙한 뒤에는 늦지 않느냐"며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며 정부의 대응을 촉구했다.
23일부터 시작된 해당 청원은 이날 기준 40만을 돌파하며, 청원인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청원 마감일은 다음달 22일이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이날 중으로 총리실에서 중국 우한에 있는 한국 국민을 철수시키기 위한 전세기를 투입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결과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전세기 문제에 대해서는 총리실에서 현재 회의 중"이라며 "총리실에서 관련 내용을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