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될수록 실질금리 하락?…"소비 줄이고, 저축 늘려"

인구고령화로 1995년 실질금리 9%-> 2018년 6%
대한민국은 초고속 고령화 진행중

(사진=연합뉴스)
인구고령화가 실질금리 하락에도 영향을 줄까?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권오익,김명현)' 보고서에 의하면 답은 그렇다. 인구가 고령화 되면서 소비가 줄고, 저축이 늘어난 데 따라 실질 금리가 하락하는 것이다.


연구팀이 정부 정책 요소들을 배제하고 기대수명과 인구증가율, 노령인구 부양비율 등 고령화와 관련된 변수와 실질임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모형내의 실질금리는 1995년 9%에서 2018년 6%로 하락했다. 이는 실질 금리 하락폭의 1/3에 해당한다.

기대수명이 늘어나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려 실질금리 하락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인구 증가율 하락은 1인당 자본을 증가시켜 실질금리를 하락시키는 요인이 된다.

실제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대수명 증가와 인구증가율 감소가 실질금리 하락에 영향을 주는데,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존 확률이 늘어날수록 저축을 큰 폭으로 늘리고 소비를 줄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다만 실질 금리 하락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기대수명이 크게 늘지 않는 경우 인구 고령화에 따른 실질 금리 하락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정부가 인구 고령화에 대비해 연금제도를 새롭게 도입하거나 또는 연금제도를 개선하는 등 정책이 소비와 저축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연구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주식하는 고령 노인들.(사진=연합뉴스)
◇ 대한민국은 급속한 인구고령화 진행中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부터 인구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됐다. 인구고령화는 노령인구 부양비율로 확인할 수 있는데,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2배 이상 늘었다.

노령인구 부양비율은 20~64세 인구(생산가능인구) 대비 65세 이상 인구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1995년에는 생산가능 인구 10명이 1명의 노인을 부양했다면 2015년에는생산가능인구 5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상황이다.

노령인구 부양비율 증가는 저출산 등에 의한 인구증가율 하락과 기대 수명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인구증가율은 1995년 1.05%이었지만, 감소세를 보이다 2000년대 후반부터 0.3%로 하락했다. 반면 기대수명은 1995년 72.8세에서 2020년 82.4세로 늘었다.

이런 추세대로면 2035년에는 생산가능인구 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