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항공생산 80%' 경남 업체 경쟁력 낮아…"민항기 제조정책 강화해야"

경남연구원 김진근 선임 연구위원 정책보고서
도내 항공부품 제작업체 30.7%만 경영·기술경쟁력 우수
민항기 부품산업 발전 위해 국제공동개발 적극 참여해야
장비·기술개발·인증획득 비용·미래비행제 개발 지원 등 맞춤형 정책 필요

(사진=경남도청 제공/자료사진)
국내 항공 생산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는 경남의 항공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중형민항기 제조 정책을 강화하고 업체가 요구하는 맞춤형 지원 정책을 적극 펼쳐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경남연구원 김진근 선임 연구위원은 정책소식지(G-BRIEF)에 '항공산업 메카로의 도전:현실과 과제'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냈다고 15일 밝혔다.

국내 항공기 생산 실적은 5조 원 수준이다. 2016년 5조 7000억 원 수준까지 증가했다가 2017년 4조 3000억 원대로 급격히 떨어진 이후 다시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남 항공기 생산은 4조 원에 이른다. 2위인 부산이 6700억 원임을 감안하면 경남이 국내 항공산업 중심지라 할 수 있다.

글로벌 항공 여객 수요는 향후 2037년까지 연 평균 4.4%~4.6%씩 증가하고, 세계 민간 항공기 제조 시장도 매년 최소 348조 원의 신규 시장이 생겨날 것으로 예측됐다.

이런 항공 시장의 양호한 전망에 비해 도내 항공 산업의 경쟁력은 낮은 실정이며, 정부의 노력도 미흡한 상황이라고 김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실제 경남연구원이 지난 6월부터 한 달 간 도내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한 결과 항공부품 제작업체 62곳 가운데 경영과 기술경쟁력 수준이 우수한 곳은 19곳(30.7%)에 불과했다.

경영은 미흡하지만 기술경쟁력이 양호한 곳은 11곳(17.7%), 반대로 기술경쟁력은 미흡하지만 경영이 양호한 곳은 10곳(16.1%)으로 나타났다.

경영과 기술경쟁력 수준이 모두 취약한 곳은 22곳(35.5%)에 달해 자생력 확보가 항공부품 산업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김 연구위원은 "가장 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되는 150인승 급 민간항공기 제조시장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선도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경상남도도 정부의 항공산업 육성정책을 견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정부가 현재의 항공우주산업 정책을 우주부문-군수-민수 산업부문으로 분리하고, 그동안 소외됐던 민간항공기 분야의 산업 정책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민항기 부품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공동개발(RST)에 참여해 투자액에 비례하는 제조물량을 확보하는 정책도 적극 반영해 추진해야 한다고 김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경남도 역시 지역 항공부품 업체들이 경영·생산 기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 수요를 청취하고 이를 맞춤형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선 기술개발과 인증획득 관련 비용을 지원할 것을 주문했다.

정부의 기술개발자금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도 차원의 육성자금을 확대하며 항공우주연구원, 재료연구소, 세라믹기술원 등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생산 경쟁력과 자생력 강화를 위한 장비개발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지역 업체와 중앙·지방 정부가 공동으로 펀드를 조성해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김 연구위원은 항공정비(MRO)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저가항공사(LCC)의 안정적인 물량 확보에 주력하고, 자율항공기(PAV) 등 미래비행체 개발도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현재 진행중인 항공ICT 융복합 클러스터 사업을 성공적으로 조성하고, 해외 수출 지원을 위한 경남테크노파크 항공산업지원단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체계적이고 맞춤형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제언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