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 한국의 사회동향'을 보면 우리나라의 연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는 2001년 60μg/㎥대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낮아져 2018년에 40μg/㎥대 수준으로 떨어졌다.
초미세먼지(PM2.5)의 연평균 농도도 2015년 약 26μg/㎥에서 2018년 약 23μg/㎥으로 내려갔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이 지난해 수행한 '미세먼지 국민의식 조사'에서 국민의 90% 이상이 10년 전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더 나빠진 것으로 인식한 것과는 반대의 결과다.
그러나 2015년부터 최근으로 올수록 서울시의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대기환경 기준 상 '매우 나쁨' 수준인 76μg/㎥를 넘는 빈도는 점차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한반도 주변의 풍속이 지속적으로 약화됨(강풍의 빈도가 줄어듦)에 따라 고농도 초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할 수 있는 대기환경이 빈번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한편,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는 감소했으나, 대기 중의 다른 물질과 결합해 초미세먼지를 발생시키는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은 2008년 42만8천204t(톤)에서 2016년 45만2천995t으로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휘발유 및 LPG 차량은 사실상 미세먼지(PM)를 직접 배출하지 않지만, 경유 차량의 경우 2012년 이후 차량은 ㎞당 0.005g을, 2009~2011년 차량은 ㎞당 0.025g을 배출한다.
미세먼지 2차 생성원인 질소산화물은 2009년까지 감소하다가 그 이후로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도로주행 시험 결과를 기준으로 경유차(0.560g/㎞)가 휘발유차(0.020g/㎞)보다 약 28배 더 많이 배출했다.
올해 6월 기준 우리나라의 경유 차량은 총 997만여대로 전체 차량의 42.5%를 차지한다.
하지만 화물차(93.5%)와 승합차(84.9%)에선 경유차가 압도적으로 많다.
경유 승용차 순(純) 등록대수는 2010년 17만대 수준에서 2015년 59만대로 지속해서 늘어나다가 2016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30만대 수준으로 감소했다.
반면 2014년부터 올해 5월까지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친환경차의 누적 등록대수는 53만대까지 늘어났다.
통계청은 "경유 차량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및 질소산화물 등을 더 많이 배출하는 만큼 미세먼지 저감 정책으로 노후 경유차 감소와 친환경차 증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