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쇄신 요구 직면과 흔들리는 리더십 속에서 단행한 단식으로 황 대표는 일단 위기 반전과 지지층 결집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쇄신 목소리는 단식 농성에 뒤로 밀려났고, 강경일변도 투쟁으로 중도 민심과는 괴리됐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황 대표 단식 농성이 중단된 상황에서 향후 한국당의 행보도 주목된다. '투톱'이자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협상 키를 쥔 나경원 원내대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진 모습이다.
◇ 단식 8일째 의식 잃은 황교안, 병원으로 긴급 이송
27일 한국당에 따르면 황교안 대표는 이날 오후 11시쯤 의식을 잃고 구급차에 실려 신촌 세브란스 병원에 입원했다.
황 대표의 상태는 농성장을 지키던 부인 최지영 여사가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여사는 황 대표의 모습을 보고 "이상하다"며 근처에 있는 의료진에게 도움을 청했다. 의료진은 황 대표가 의식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즉시 구급차를 불렀다.
이송 과정에서 최 여사가 황 대표의 이름을 부르고 흔들어봤지만 반응은 없었다고 한다. 황 대표는 곧바로 입원했고, 세브란스 병원에는 나경원 원내대표 등 핵심 당직자들이 모여들었다.
황 대표는 입원 후 약 1시간50분이 지나고 의식을 회복했다. 한국당 김명연 수석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맥박수와 심장 등을 기초검사 했는데 아주 정상은 아니지만 정상치까지 회복을 조금 기대하는 과정"이라며 "눈을 뜨고 사람을 알아보는 정도다. 다행히 위험한 고비는 넘겼다"라고 설명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브리핑을 통해 "대표님께서 정말 천만다행으로 의식이 돌아오고 계신다"며 "정말 비정한 정권이다. 야당 당대표께서 오랜 시간 그 추위에서 단식을 이어가고 있는데, 어떠한 반응도 없었다"라고 말했다.
◇ 20일부터 '지소미아', '패스트트랙' 걸고 단식 돌입, 건강상태 악화
황 대표는 ▲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철회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 포기를 내걸고 지난 20일부터 단식에 돌입했다.
20~21일에는 청와대 앞 분수대 광장에서 바닥에 돗자리만 깐 채 앉아서 단식을 했다. 밤에는 국회 본관 앞에 마련한 천막에서 잠을 잤다. '출퇴근 단식'이라는 비판이 나오자 22일부터는 청와대 사랑채 앞에 텐트를 두고 단식을 이어갔다. 23일부터는 체력이 악화돼 자리에 누웠으며, 25일에는 분수대 광장에 설치한 몽골 텐트 안으로 이동했다. 텐트 안에는 황 대표의 의지에 따라 난방 기구를 하나도 두지 않았다고 한다.
측근들에 따르면 황 대표의 건강 상태는 날로 악화됐다. 신장 기능이 떨어지며 단백뇨 증상이 나타났고 말은 거의 못하는 상황이 됐다. 때문에 나경원 원내대표와 최고위원들, 핵심 당직자들은 황 대표의 단식을 거듭 만류했다. 하지만 단식 의지는 굽혀지지 않았고, 결국 의료진이 주변에 대기하며 상황을 주시했다.
일단 이번 단식으로 리더십 위기는 반전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지부진한 보수통합과 쇄신 작업으로 당내 반발 기류가 폭발할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단식에 접어들자 반발은 잦아들고, 결속력은 강해지는 모습이 나타났다.
수많은 정치권 인사들이 단식 현장을 방문하며 보수의 유력 주자로 존재감을 한층 높였다는 분석도 있다. 여권에서는 이낙연 국무총리,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 강기정 청와대 정무수석 등이 황 대표와 만났다.
야권에서는 통합 파트너로 지목됐으나 직접 대면한 바가 없는 바른미래당 유승민 전 대표와 황 대표에게 비판 목소리를 냈었던 홍준표 전 대표 등의 방문이 주목됐다. 이밖에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 박관용 전 국회의장, 서청원 무소속 의원, 원희룡 제주지사, 김태호 전 최고위원, 박근령 전 육영재단 이사장, 유인태 국회 사무총장 등이 농성장을 찾았다.
하지만 이번 단식이 중도 여론과는 다소 괴리됐다는 평가도 제기된다. 위기 때마다 삭발, 장외 농성 등을 하다가 단식까지 벌이는 '강경일변도식' 투쟁이 태극기 세력에겐 효과적일지라도, 일반 민심을 잡는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기독교 강성 우파 세력을 이끄는 전광훈 목사(문재인하야 범국민투쟁본부 총괄대표)의 개입도 여러 뒷말을 낳았다.
중진 용퇴론과 3선 김세연 의원의 '당 해체' 요구로 바람이 불듯 했던 쇄신 작업도 '단식 블랙홀' 속에 종적을 감추고 말았다.
◇ 패스트트랙 선거법 정국, 나경원 행보 주목
황 대표가 내세운 단식 명분 중 지소미아는 '조건부 연장'에 이르면서 일단 충족됐다. 다음 수순은 선거법이다. 단식 농성 중에는 '협상론'보다, '강경론'에 무게가 실리며 선거법 협상의 돌파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았다.
27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선거법 개정안 원천무효 등을 주장하는 강경파 목소리가 강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당 일각에서는 '250(지역구)+50(비례)' 연동형 25%식의 협상안에 대한 공감 기류도 조금씩 퍼지고 있다.
결국 나 원내대표의 행보가 주목되는 모습이다. 단식 의미를 살리면서 한편으로는 협상의 끈을 놓지 않는 '묘수'를 고민할 것으로 예상된다. 황 대표가 회복해 단식 여부를 어떻게 정할지도 미지수다. 현재로선 단식 명분을 완전히 달성하지 못했다. 단식을 중단할 경우 명분에 걸맞는 '출구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