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전 청와대 비서실장을 선두로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한병도 전 정무수석, 박수현 전 대변인, 권혁기 전 춘추관장과 김우영·김영배·민형배·복기왕 전 비서관 등이 꼽히고 있다.
문제는 이들 중 상당수가 이미 현역 의원들이 있는 지역구에 출사표를 낼 것으로 전망되면서 당내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는 점이다.
청와대 출신에 대한 현역 의원들의 시선이 곱지 않은 가운데 최근 몇몇 의원은 당 지도부를 찾아 "청와대에서 일했으면 험지로 나가야지 왜 남의 밭에 와서 그러냐"며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고 한다.
이를 놓고 청와대 출신 인사와 지역구를 놓고 경선을 펼쳐야 하는 또다른 의원은 "현역들 있는 지역에 나오는 건 의미 없다"며 "본인이 땀 흘려서 농사 지어야지, 남들이 농사지은 걸 낫으로 베어갈 생각만 해서 되겠냐"고 평가절하했다.
청와대 근무 이력 기재 여부를 놓고 갈등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있다.
경선 설문조사에서 청와대 이력·문재인 정부 근무 이력을 기재하지 않는 방침이 검토되고 있다.
이에 대해 당 관계자는 "김대중·노무현 청와대까지 '청와대 경력'을 가진 분들이 굉장히 많아서 불만이 쌓이고 쌓이면 나중에 '문재인 정부'를 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물밑에서 갈등이 쌓여가는 데엔 전직 구청장들이 워낙 구 사정을 잘 아는 만큼 경쟁력이 있는 데다 '청와대 프리미엄'까지 붙어 경쟁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기획단 주요 관계자는 갈등이 불거질 조짐에 대해 "겹치는 지역이 많아봤자 얼마나 많겠냐"며 애써 갈등을 축소하는 분위기지만, 내부적으론 어떻게 조율할지를 놓고 고민에 들어간 모양새다.
또다른 당 관계자는 "청와대 경력을 가진 인사들이 일을 하지 않고 (지역구에) 돌아다닌다는 민원이 있나 본데, 그건 대통령 비서실장이 관리해야지 당에서 뭐라고 할 일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경선을 원칙으로 내세운 당 지도부가 현역 의원들의 불만에 명쾌한 해법을 내줄 수 없는 만큼 양 원장이 대신 일종의 피드백을 준 게 아니냐는 것.
또 인재 영입에 관여하고 있는 양 원장 입장에서도 청와대 출신이 지나치게 많이 총선에 뛸 경우, 새로운 인재를 투입할 여지가 적어지는 부담감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