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올해 성장률은 1.9%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한국은행의 3분기 성장률 발표 뒤 삼성증권이 연간 전망치를 1.9%로 0.1%p 낮췄고, DB금융투자(2.1%→1.9%)와 유진투자증권(2.0%→1.9%)도 하향 조정했다.
한은 설명은 4분기 성장률이 3분기 대비 0.97%를 넘으면 연간 2% 성장, 0.6~0.97% 범위면 연간 1.9% 성장이라는 것이다. 시장에서는 4분기 성장이 0.97%에 못미칠 것으로 내다보는 셈이다.
미중 무역분쟁을 비롯한 대외 여건이 여전히 불리한 데다, 내수가 여전히 받쳐주지 못하고 있다는 게 주된 판단근거다. 특히 대외 영향이 그나마 적은 건설투자도 규제 정책과 시장의 조정 등 영향에 위축됐고, 매분기 성장을 견인해온 정부 재정지출이 상반기에 집중돼 4분기 집행 여력이 작아졌다.
한은도 올해 마지막 수정 경제전망 발표가 있는 다음달 2%나 그 아래로 전망치를 낮출 공산이 크다. 한은은 지난 1월 발표 때 2.6%, 4월 2.5%, 7월 2.2%로 매분기 하향조정해왔다. 이주열 총재는 9월말 "2.2% 달성이 녹록치 않다", 최근 국정감사 때 "2% 성장이 현재로서는 쉽지 않다"는 발언을 내놨다.
이같은 기류라면 정부의 최근 전망치 2.0~2.1%나 IMF의 2.0%, OECD의 2.1% 모두 달성이 어렵다. 결국 '최대 2%'가 사실상 당국이나 시장의 눈높이가 됐다. 2% 미만의 성장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의 0.8% 이후 10년만이 된다.
반면 낮을 대로 낮아진 올해 성장세는 내년에 전화위복이 될 수도 있다. '기저효과'에 따라 내년도에는 작은 성장이라도 개선 효과 극대화가 가능하다. IBK투자증권은 "기저효과와 정책효과로 내년 성장률이 소폭이나마 반등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삼성증권 2.3%, DB금융투자 2.2% 등 시장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올해보다 높다. IMF도 내년도 우리나라 성장률을 올해보다 0.2%p 높은 2.2%로 전망한다.
내년에는 대내외 여건이 호전될 것이란 기대도 작용한다.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년 11월 대선 전에는 미중분쟁을 정리할 가능성이 커, 내년 중 세계 경기에 긍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최근 소규모 양국 합의만으로도 주가가 호전된 바 있다.
대내 여건도 개선세가 엿보인다. 한은 발표에서 3분기 수출(전분기 대비 4.1%)과 설비투자(0.5%)는 1분기 각각 '마이너스'로 바닥을 찍은 뒤 2분기째 성장세다. 제조업의 성장기여도 역시 1분기(-0.9%p)엔 성장률을 깎아먹었으나 꾸준히 개선돼 3분기 0.6%p로 뛰었다.
수출에서는 특히 주력 제품인 반도체가 거론된다. 삼성증권은 "업황 개선으로 최근 발표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매출·영업이익도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4분기 이후에도 반도체 수출확대가 이어져 수출의 성장기여도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대통령이 직접 건설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한 만큼 정부가 내년에도 확장재정에 나설 게 분명하고,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도 차츰 경기에 반영될 전망이다. SK증권은 "민간 부문 성장동력의 눈높이가 높지 않을수록 등장하는 키워드는 정부지출과 공공투자"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