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4분기 성장률 0.97% 이상이면 연간 2% 달성"

"4분기 성장률 0.6~0.95%이면 연간 1.9%대 성장"
"민간 성장기여도 추가 확대, 정부 재정집행이 관건"
"잠재성장률 하락…10년전 1%대 성장보다는 충격 작아"
"수출경쟁력, 인구 생산성, 신성장동력 유지·확보 중요"

(사진=연합뉴스)
올해 성장률 2% 달성을 위해서는 4분기 성장률이 0.97%을 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이 경우 정부와 민간이 성장기여도를 두배씩은 올려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될 전망이다.

한국은행 박양수 경제통계국장은 24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 통계를 발표하면서 "연간 경제성장률이 2%가 되기 위해서는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4분기에 전분기 대비 성장률이 1% 이상, 정확히는 0.97% 이상이면 연간 2%를 찍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한은은 전분기 대비 3분기 경제성장률이 0.4%라고 발표했다. 앞서 1분기 –0.4%, 2분기 1.0%로 성장률이 발표된 바 있다.

박 국장은 "4분기 성장률이 0.97%이상이면 연간 2%가 나오고, 4분기 성장률이 그 밑으로 해서 0.6% 이상이면 연간 1.9%가 되는 것같다. 그보다 이하인 경우 연간 1.8%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연간 2% 달성 가능 여부를 직접적으로 말씀드릴 입장은 아니다"라며 "현재 미중 무역분쟁 관련 불확실성이 남아 있고, 한일간 수출분쟁이나 홍콩사태와 브렉시트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있어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태에서 4분기 성장률 1%이 되기 위한 관건은 민간부문 성장기여도가 3분기 들어 플러스로 전환됐는데, 추가적으로 성장 모멘텀이 확대되느냐에 있다"며 "또 하나는 이월·불용예산 최소화로 금년 재정지출을 최대한 끌어올린다는 정부의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작용하느냐"라고 덧붙였다.


민간부문의 성장기여도는 2분기 –0.2%p에서 3분기 0.2%p로 전환됐다. 정부부문은 반대로 1.2%p에서 0.2%p로 낮아졌다.

4분기 1% 성장에서 0.5%p씩 각각 절반을 뒷받침하려면 민간과 정부 모두 3분기보다 성장기여도가 0.3%p씩 더 늘어나야 한다. 기여도를 3분기에 비해 2배 늘려야 하는 상황이나, 수출·내수의 둔화나 재정 여력 감소 등에 따라 간단치 않아 보인다.

한은에 따르면 연간 성장률이 2% 미만인 해는 1956년(0.7%), 1980년(-1.7%), 1998년(-5.5%), 2009년(0.7%) 등 4번이다. 이 가운데 1980년(오일쇼크), 1998년(IMF외환위기), 2009년(글로벌금융위기)은 대외 여건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전후복구기이자 농업기반 경제였던 1956년은 흉년이 들어 성장세가 꺾였다.

박 국장은 올해 성장률이 1%대로 떨어질 가능성과 관련해 "10년전 글로벌금융위기 때의 1% 성장과 지금의 1% 성장을 비교하면 지금이 더 충격이 크다고 하기 어렵다. 10년전 잠재성장률에 비해 현재의 잠재성장률은 많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은이 5년 단위로 추정한 연평균 잠재성장률은 2001~2005년 5.0~5.2%, 2006~2010년 4.1~4.2%, 2011~2015년 3.0~3.4%, 2016~2020년 2.7~2.8%로 하락했다. 최근 추정된 2019~2020년 잠재성장률은 2.5~2.6%다.

그는 "성장률 하락에는 대외여건이 좋지 않은 데다 국내적으로도 진행되는 투자조정 등 두가지 영향이 섞여 있다. 우리 경제의 추세적 성장률은 하락세"라면서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주요 수출품목의 경쟁력 유지,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의 생산성 확보, 신성장동력 확보를 통한 국면 극복이 주요 이슈"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