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CK,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 심포지엄

[앵커]

1백년이 넘는 역사를 지닌 한국 교회는 우리 사회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지만 이를 학술적으로 정리하는 작업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습니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오는 2024년 출범 백주년을 앞두고 교회가 우리나라 근현대사에 남긴 발자취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최경배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가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를 정리하고 평가하는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1924년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로 시작해 오는 2024년 출범 100년이 되는 교회협의회가 100주년기념사업의 하나로 기독교 사회운동사 정리 사업을 선택한 겁니다.

한국 교회가 지난 한 세기 동안 여러 사회운동을 펼치며 우리 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지만 지금까지 그 역사에 대한 정리와 평가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오늘날 교회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가 추락한 현실에서 엄혹했던 시절 믿음의 선배들이 보여줬던 삶의 흔적을 짚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란 판단에섭니다.

[녹취]
(신광철 교수 / 한신대)
“한국기독교가 사회적인 비아냥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점은 믿음의 선배들의 활동, 사상적인 영향 그것들을 놓고 본다고 따지면 상당히 가슴 아프고 뼈아픈 일이 아닐 수가 없습니다.”

교회협이 마련한 ‘제1차 한국기독교 사회운동사 심포지엄’은 한국 교회의 사회사상과 사회운동의 역사를 포괄적으로 짚어보는 자리였습니다.

감신대 하희정 박사는 한국 교회는 선교 초기부터 교육과 의료, 문서보급 등에 힘쓰며 사회운동을 펼쳤다면서, 이는 가장 낮고 겸손한 걸음으로 세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기독교의 근본 가르침에도 부합하는 것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녹취]
(하희정 박사 / 감리교신학대)
“한국기독교가 걸어온 한 세기의 사회적 행보들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메시지는 분명했습니다. 고통이 있는 곳에 하나님이 계시다. 여기에서 일탈했을 때 한국교회는 예외없이 사회적 질타를 받았고 생명력을 의심받았습니다.”

하 박사는 한국교회가 일제강점기에도 독립투쟁과 농촌운동, 물산장려운동 등 사회운동의 통로 역할을 감당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선교사들이 일제의 압력에 굴복해 ‘정교분리론’을 꺼내들면서 일본정부의 협조를 구하며 선교활동을 보장받는 선택을 했고, 이에 실망해 기독교를 떠나는 사람들이 생겨나기도 했다고 말했습니다.

하 박사는 민주화 이후 시민운동은 폭발적으로 성장했으나, 한국교회는 사회적 행보를 멈추거나 정체를 보이며 깊은 침체의 늪에 빠져든 모습을 보이고 있다면서, 교회와 사회가 분리된 현실을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BS뉴스 최경배입니다.

(장소) 제1차 한국 기독교 사회운동사 심포지엄 / 8일, 서울 종로5가 한국기독교회관
(영상취재 / 이현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