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방식과 달리 카메라나 외부 장치 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에 전혀 지장이 없고 추가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으로 사물 인식을 할 수 있다.
1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전산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노커(Knocker)' 기술은 카메라 등 별도의 기기를 쓰지 않아도 사물을 인식할 수 있다.
물체에 노크해서 생긴 반응을 스마트폰 마이크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로 감지하고 이 데이터를 기계학습 기술을 통해 분석해 사물을 인식한다.
연구팀이 책, 노트북, 물병, 자전거 등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23종의 사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혼잡한 도로와 식당 등 잡음이 많은 공간에서 83%의 사물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가정 등 실내 공간에서의 사물 인식 정확도는 98%에 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예를 들어 빈 물통을 스마트폰으로 노크하면 자동으로 물을 주문할 수 있고 IoT 기기를 활용해 취침 전 침대를 노크하면 불을 끄고 알람을 자동 설정하는 등 연구팀은 총 15개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선보였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차세대정보컴퓨팅기술개발사업과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및 표준화 사업 지원을 통해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