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선의 비중이 큰 지방 공항의 탑승객이 3분의 1이나 줄면서 개별 공항에 따라 수입이 많게는 70% 가까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2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관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받은 '7개 국제선공항 운항·여객·수입 현황'에 따르면 일본의 '백색국가 한국 제외' 방침 발표 직후인 7월 첫 주 1천29편이었던 일본 노선 운항편 수는 불과 두 달만인 8월 넷째 주 836편으로 18.8% 축소됐다.
한국공항공사가 운영·관리하는 7개 공항은 김포·김해·제주·대구·청주·무안·양양 공항이다.
같은 기간 이들 공항의 일본 노선 여객 수도 15만1천283명에서 5만1천133명으로 33.8%나 줄었다.
작년 같은 시점과 비교하면 감소폭은 더 컸다. 7개 공항 일본 노선 주(週)단위 여객 수의 작년 동기대비 감소율은 ▲ 7월 다섯째 주 8.3% ▲ 8월 첫 주 14.7% ▲ 둘째 주 19.6% ▲ 셋째 주 25.2% ▲ 넷째 주 35.3%로 갈수록 높아지는 추세다.
비행기 운항과 여객 발길이 뜸해지면서 공항의 수입(공항시설사용료·국제여객이용료 등)도 타격을 받고 있다.
7개 공항의 7∼8월 두 달 수입은 116억3천600만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1% 줄었다.
형편이 상대적으로 나은 김포(수입 59억6천300만원·1.6% 증가)와 제주(3억9천100만원·15% 증가), 대구(10억2천200만원·0.8% 증가)를 뺀 나머지 공항의 상황은 심각했다. 양양, 청주, 김해공항의 수입 감소율은 66.7%, 30.3%, 15.1%에 이르렀다.
윤관석 의원은 "7개 국제공항의 28개 노선 중 일본 노선이 여객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2.9%(2018년 기준)에 이를 만큼 지방공항의 일본 노선 편중이 심하다"며 "인천국제공항 일본 노선 비중이 21.9%인 것과 비교해 일본 여행 불매에 따른 지방 공항의 피해가 더 클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윤 의원은 "위기 대응을 위한 단기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장기적으로 노선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 등 일본 외 대체 시장 발굴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