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협상 뜸들이기'에 29일 최고인민회의 주목

한미훈련 끝난 뒤에도 3일째 '적대행위' 비난…협상력 제고 전략
오늘 외무성 담화에선 변화 감지…막말·위협적 언사 자제
전문가 "최고인민회의 후 협상 재개할 듯"…김현종 "느낌 좋다"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한미군사훈련이 끝난 이후에도 한미 양국의 '적대행위'를 핑계 삼아 협상테이블 복귀를 계속 미루면서 추이가 주목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6월 30일 판문점 회담에서 2~3주 내 북미 실무협상 재개를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이후에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 한미훈련이 끝나는 대로 협상 재개를 희망한다고 밝혔지만 이 역시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북한은 오히려 한미훈련 종료 후에도 대남 비방전을 이어갔고, 한동안 자제했던 미국에 대한 비판도 재개했다.

북한 노동신문은 한미훈련 마지막 날인 20일 이 훈련을 '북침 전쟁연습'이라 비난했고 21일에는 "미국이 조선반도의 평화와 관계개선을 바라지 않고 있으며 불순한 목적을 추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22일에는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F-35 도입 등 한미 양국의 군사적 적대행위가 '대화의 동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한 뒤 "지역의 군비경쟁과 대결 분위기를 고취하고 있는 현실은 우리를 최대로 각성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은 6.30 판문점회담 이후 한미 양측에 잠시 유화적 태도를 보이다 한미훈련 계획이 가시화된 7월 중순부터는 경고와 비난 메시지를 연거푸 발신했다.


7월 16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한미훈련이 북미 실무협상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한 이후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의 진상공개장(8월 8일), 외무성 미국담당국장 담화(8월 11일), 조평통 대변인 담화(8월 16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8월 22일) 등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값비싼 대가를 치를 것" "겁먹은 개" "삶은 소대가리도 앙천대소" 등의 막말 비난이 나오며 표현은 점차 거칠어졌다.

북한은 이를 통해 한미군사훈련과 신무기 증강이 북미정상 및 남북정상 합의 위반임을 일관되게 주장했고, 자신들의 신형 미사일·방사포 발사는 정당한 자위 방편이라고 강변했다.

22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도 "군사적 위협을 동반한 대화에는 흥미가 없다"고 밝힘으로써 조만간 실무협상이 재개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을 낳았다.

하지만 이번 담화는 구체적 표현 수위 등에서 북측 입장에 적지않은 변화를 감지하게 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내용과 표현으로 볼 때 상당히 수위가 조절됐고, 군사적 긴장행위에 대해서는 이를 협상의 조건으로 삼기보다는 일종의 짚고 넘어가는 수순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날 담화는 종래의 위협적 언사 대신 "심고하지 않으면 안 되게 하고 있다"는 식의 비교적 완곡한 어법을 동원했고 대화와 협상을 통한 평화적 해결 입장을 확인했다.

김현종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도 이날 방한 중인 스티븐 비건 미국 대북특별대표를 만난 뒤 기자들에게 "북미 간에 대화가 조만간 잘 전개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당분간은 기존 입장을 유지하되 강도를 점차 낮춰가다 29일 최고인민회의를 기점으로 미국과 본격적인 협상에 나설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이례적으로 4개월여 만에 다시 열리는 최고인민회의의 의제·안건은 베일에 싸여있지만 어찌됐든 내부 중요 행사와 대외협상을 병행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북한으로선 하노이 회담 실패 이후 비핵화에 따른 상응조치를 제재완화에서 안전보장으로 바꾼 이상 한미훈련과 신무기 도입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것이 협상력을 높이는 수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29일 최고인민회의 이후에도 실무협상 시기와 장소, 의제를 놓고 북측의 '뜸들이기'식 신경전이 좀 더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