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연구원은 해체기술연구부 박찬우 박사팀이 원격 제어로 방사성 폐수 속을 유영하면서 세슘을 감지·제거하는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방사성 폐수는 원자력시설의 운영과 사고 등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폐수 속에는 세슘, 코발트 등 다양한 핵종이 포함돼 있다.
특히 방사성 세슘은 물에 잘 녹아 외부 유출 가능성이 높지만, 제거가 까다롭고 반감기도 30여 년에 이른다.
또한 감마선을 방출하고 체내 흡수 시 근육 등에 축적될 수 있다. 환경에 유출될 경우 장기간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방사성 폐수 정화 과정에서 중요한 핵종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
세슘 제거에 주로 사용되는 흡착제의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까다로운 준비가 필요할 뿐 아니라 사용한 흡착제와 설비 자체가 2차 폐기물로 남는 한계가 있다.
세슘을 흡착하는 페로시안화 구리를 입힌 이산화규소 마이크로입자가 기본 몸체로 입자의 한쪽 면에는 백금 촉매와 니켈을 코팅해 운동 능력을 갖췄다.
방사성 폐수에 미세 로봇과 과산화수소를 함께 넣으면 백금 촉매와 과산화수소가 화학적으로 반응하며 산소 방울이 생기고 이를 추진력으로 삼아 움직인다.
또 자성을 가진 니켈의 특성을 이용해 외부에서 자기장으로 로봇의 이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물 속에서 이동하며 방사성 세슘을 빠른 속도로 제거할 수 있는 화학적 미세 수중로봇은 움직이지 않는 기존의 수동형 흡착제에 비해 세슘 제거 속도가 60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폐수 속에 세슘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나트륨과 같은 경쟁 이온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98% 이상의 세슘을 성공적으로 제거해 폐수 정화에 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방사성 폐수의 특성상 작업자의 피폭을 예방하는 문제도 로봇이 외부에서 자기장을 조절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특히 세슘 포획 후 미세 로봇만 회수해 방사성폐기물로 분리·처분할 수 있어 효율적이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래원자력연구센터 사업으로 수행했다. 결과는 환경 분야 저명 학술지인 '유해물질 저널' 5월호에 게재됐다. 지난달 27일 관련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