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계정 2015년 기준년 1차 개편 결과(2000~18년)'에 따르면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2015년 2만8814달러로 구계열(2만7171달러)에 비해 1643달러 증가했다.
기준년 개편에 따라 생산기술·산업구조 변화상이 적용되고, 부문분류 재정비 등이 이뤄진 결과다. 국제기준(SNA)에 따라 비소프트웨어 기업의 자가개발 소프트웨어 지출이 비용에서 투자로 변경되고, 숙박공유·승차공유·재능공유 등 디지털 공유경제가 반영되는 변화도 있었다.
기업이 장사를 많이 하고, 정부가 세금을 많이 걷은 것도 GNI 통계에 잡힌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PGDI를 따로 집계한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2.7%로 기준년 개편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2001~2018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개편 전 성장률 3.8%에 비해 0.16%p 상승했으나, 성장률의 연간 추세는 구계열과 거의 유사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따지면 위기 이후 성장세 둔화가 뚜렷했다. 2001~2007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2008~2018년 성장률은 연평균 3.1%로 낮아졌다.
총저축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2017년 37.1%까지 높아졌다가, 지난해에는 최종소비 증가율이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35.8%로 하락했다. 30% 초반대에서 등락하던 국내총투자율은 지난해 건설 및 설비 투자가 조정양상을 보이면서 31.4%를 기록해 전년(32.3%) 대비 하락했다.
가계순저축률은 2015년(8.4%)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2016~2017년 낮아졌으나, 지난해 가계소득(4.0%)이 가계소비(3.5%)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 전년(6.5%)에 비해 상승한 6.9%를 나타냈다.
생산구조는 서비스업 비중이 커졌다. 기초가격 총부가가치 대비 서비스업 비중은 2000년 57.2%에서 지난해 60.7%로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제조업(29.3%→29.2%)과 건설업(6.1%→5.9%) 등은 비중이 낮아졌다.
지출구조에서는 2000~2018년 GDP 대비 정부소비 비중이 상승(10.9%→16.1%)한 반면, 민간소비(54.5%→48.0%)와 총고정자본형성(31.8%→30.4%) 비중은 하락했다. 분배구조에서는 2000~2018년 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피용자보수(41.8%→45.7%)는 상승하고, 영업잉여(30.2%→26.0%)는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기준년 개편은 1958년(1955년 기준년) 처음 국민계정통계를 발표한 이래 이번이 12번째다. 기준년 개편은 통상 5년마다 이뤄지는데, 이날 1차로 2000~2018년 시계열을 공표했다. 오는 12월에는 2차로 1953~1999년 시계열이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