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끝작렬] '무덤론', '무용론'으로 뒤바꾼 이재명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16일 오후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서 열린 1심 선고공판에서 무죄를 선고 받고 변호인들과 법원을 나서고 있다.(사진=이한형기자)

'경기도지사 무덤론'. 이재명 지사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이 지사의 1심 선고는 여론을 전환 시켰다. 하루 아침에 흉흉한 '무덤론'을 '무용론(無用論)'으로 바꿔놨다.

경기도에서 떠도는 '무덤론'은 이 지사 선임(先任)들의 행적 때문에 탄생했다.

남경필(34대/2014~2018년)·김문수(32·33대/2006~2014년)·손학규(31대/2002~2006년)·이인제(29대/1995~1997년) 등의 전 지사들이 '무덤론'의 주인공이다.


이들의 대권 꿈이 좌절된 것을 빗댄 말이 '경기도지사 무덤론' 이다. '경기지사직이 정치인들의 무덤' 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경기지사는 대선 주자급으로 분류된다. 남경필·김문수·손학규·이인제 등도 예외없이 '대권'에 도전 했다. 하지만 모두 '잠룡(潛龍)'에 머물러야만 했다. 이들의 입장에서는 '흑역사'라 하겠다.

이같은 사정에 지역정가, 공직사회에서는 풍수지리적 해석도 회자됐다. '대통령을 배출한 서울시청과는 달리 경기도청의 '터'가 좋지 않다는 것이 그것이다.

도청 '터'는 조선시대 역병(疫病) 환자 시신을 묻었던 곳이라는 이야기. 전설이 된지 오래다.

김문수 전 지사는 몸소 풍수지리적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2008년 수억 원을 들여 도청 옥상의 지장물을 철거하는 공사가 그랬다. 옥상에 설치된 배 조형물 앞을 가건물이 막아 앞 길이 잘 풀리지 않는다는 설(說)은 철거 공사의 이유였다.

전직 경기지사들은 지난해 지방선거에서도 몰락했다. 남 지사의 정계 은퇴 선언은 방점을 찍었다. '경기도지사 무덤론'의 징크스는 깨지지 않았다.

중형의 구형이 있은 후 이 지사도 '무덤론'에 슬그머니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지사의 무거운 구형량은 '무덤론'을 한층 견고히 만들기에 충분했다.

선고가 다가오자 도청 안팎에서 '무덤론'은 술자리 안주가 되기도 했다. '무덤론'에 한명이 더 추가되는 분위기였다. "경기도지사로 오면 망가진다"는 말은 설득력을 더했다.

반전이 시작됐다. 16일, 이 지사는 '무덤론'을 뒤엎었다. 징크스를 깨는 신호탄을 올렸다.

'무죄'란 명제는 강했다. 여론은 환기됐다. 기울어진 운동장은 수평을 찾았다.

'무덤'으로 가는 길목에서 이 지사는 탈출했다. (그는) 다른 길을 제시했다.

"서로 함께 손잡고 큰 길로 계속 함께 가기를 기대한다." '큰 길', 이 지사의 '노정(路程) 이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