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북러회담 계기로 비핵화 '중재자' 노리나…발언권 높일 듯

"회담 결과 미국, 중국에도 전할 계획"…신뢰구축, 체제보장 역설
北노동자 송환에 유연한 입장, 美와 갈등 예상…'적극적 역할' 강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왼쪽)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루스키섬의 극동연방대학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후 만찬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EPA/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러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문제에 대한 개입 발판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중재자' 위상까지 노려볼 수 있게 됐다.

푸틴 대통령은 25일 오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3시간여 정상회담을 가진 뒤 자국 언론과의 질문·답변을 통해 회담 결과를 설명했다.

그는 먼저 미국과 중국에 이번 회담 결과를 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적으로는 26일부터 참석할 예정인 일대일로 국제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설명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회담 결과를) 미국과 다른 정상들에게 알릴 것을 희망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러시아와 미국의 입장은 유사하고 북한 역시 비핵화를 원하고 있다고 언급한 뒤, 다만 북한에 대한 체제 안전보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자신이 단지 김 위원장의 입장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넘어 중재와 조율 역할까지 맡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그는 북한 체제 보장을 위한 방안으로 6자회담 재개 필요성도 거론했다.

그는 "한국이나 미국이 북한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조치를 내놓는다면 6자회담이 가동되지 않을 수 있지만, 한국이나 미국은 보장 매카니즘이 충분치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북미대화 교착 국면을 계기로 6자회담을 즉시 재개 한다기보다는 향후 비핵화 협상이 진전되는 상황에서의 다자안보체제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김 위원장과의 만찬 연설에서는 "북한이 북미회담을 직접적으로 추진하는 것을 지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그는 만찬 연설에서 "러시아는 한반도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는 것에 있어서 적극적 역할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도 말해 원론적이지만 분명하게 동북아 발언권을 행사할 뜻을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했던 이유와 관련해서는 "2005년에 북핵문제는 해결될 수 있었지만 미국이 이미 합의(9.19공동성명) 된 내용이 충분치 않다고 해서 사실상 이행되지 않았다"며 미국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그는 "한발짝 앞으로 나갔다 뒤로 두발짝 가는 방식으로 간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신뢰 구축"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반도 비핵화는 신뢰 구축에서 출발해 북한 체제보장까지 이어지는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고 설파한 셈이다.

그는 북한 노동자 송환 문제에 대해서도 유연한 입장을 시사해 대북제재를 주도하는 미국과의 긴장관계를 예고했다.

그는 "인권 문제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대화를 나눴고, 대립적이지 않은 해결 방법이 충분히 있을 것으로 본다"면서 "북한 노동자는 성공적으로 일을 하고 있고 준법정신이 투철하고 아주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로선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전쟁에 발목 잡혀 북한에 대한 영향력이 떨어져있는 현 상황이 동북아에서 과거 위상을 되찾을 기회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그는 지난해 5월 라브로프 외무장관을 시켜 김정은 위원장에게 친서를 전달하게 함으로써 8년만의 북러 정상회담에 시동을 걸었다.

정상회담 장소를 수도 모스크바 대신 극동의 블라디보스톡으로 한 것도 동북아 외교의 큰 틀에서 이해된다.

이와 관련, 러시아 언론들은 김 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이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무위원장에 재추대 된 이후 첫 외국 방문이란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