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한한 S&P연레협의단은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를 만나 이같이 언급했다고 기재부는 밝혔다.
아태지역 국가신용등급 담당인 킴엥 탄 선임이사와 이판 푸아 이사 등 협의단은 한국의 견조한 경제지표와 정부의 경제발전 의지, 또 정책 방향 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현재 한국의 높은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하는 기반"으로 지목했다.
다만 "북한 관련 지정학적 리스크는 국가신용등급 상향의 장애요인으로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취임후 신용평가사와 첫 면담을 가진 홍 부총리는 "올해 성장목표인 2.6~2.7% 달성을 위해 경제활력 제고를 최우선 목표로 경제정책을 추진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경제는 투자·수출·․고용이 부진하고,대외 불확실성도 커져 경제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하지만 소비 흐름이 견조하고, 경제주체 심리가 개선되는 등 긍정적 측면도 있다"고 소개했다.
특히 "경제활력 제고를 위해 무엇보다 민간 투자 활성화를 지원하는 한편,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도 중요하다"면서 "경기 하방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추가경정예산도 준비중"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S&P 측은 "최저임금 인상, 주52시간 근무제 정책들이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긍정적 측면이 있다"면서 "정책 효과를 봐가면서 필요시 보완·개선을 통해 장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S&P는 2016년 한국의 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올린 뒤 '안정적'이란 전망과 함께 현재까지 같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AA'는 S&P의 21개 평가 구간 가운데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앞서 S&P는 지난해 10월 등급 유지 방침을 밝히면서 "만약 북한이 상당한 수준의 경제 자유화를 진전시킬 경우 지정학적 위험도 감소할 수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또다른 신용평가사인 무디스의 경우 한국의 신용등급을 3번째로 높은 'Aa2', 피치는 4번째로 높은 'AA-'로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