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 질환은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지키는 면역계가 되레 자신을 공격해 생기는 질병으로 류머티즘 관절염과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등이 있다.
우리 몸속에는 최대 100억 개 가량의 T세포 클론이 존재한다.
병원균이 침투했을 때 T세포는 항원 특이적으로 반응하지만, 나머지 대부분 T세포는 면역반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항원에 반응하지 않는 T세포를 '방관자 T세포'라고 한다.
다발성 경화증 생쥐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신호물질(인터류킨-1베타·인터류킨-23) 영향으로 방관자 T세포가 활성화했다.
활성화한 방관자 T세포는 척수 조직으로 움직여 다른 신호물질(인터류킨-17A·인터페론-감마·GM-CSF)을 분비해 중추신경계는 손상을 입고 다발성 경화증 발병·진행에 관여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최제민 교수는 "이 연구는 방관자 T세포의 역할이 적응면역 반응 및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 원인에 대해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자가면역 질환 치료 신약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지난 1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