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 연휴를 앞두고 지난 30일 CBS노컷뉴스 취재진이 찾은 서울역에는 매표소 창구로 몰린 노년층과 무인발권기로 향하는 젊은 층의 대조가 극명했다.
코레일에 따르면 명절 기차표 사전 판매 때는 온오프라인 비율이 7:3으로 나눠져 있지만, 이후 현장 판매 수량이 따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매진된 표 가운데 취소되는 일부 승차권만 역 창구에서 구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마저도 인터넷 등을 통해 예약대기를 한 이들과 ‘경쟁’해야 한다.
이날 서울역을 찾은 60~70대들은 무인발권기로 향했다가 다시 매표소로 발길을 돌려 한참을 기다린 뒤에야 겨우 표를 구하는 모습이었다.
김정구(75)씨는 "배워야 되는데 촌 영감이라 몰라서 한 30분 기다렸다"고, 주현섭(75)씨도 "인터넷으로 하면 참 좋지만, 사용할 줄 모르고 기계로 해도 자꾸 실수를 하게 된다"고 했다.
박동석(69)씨를 비롯해 노약자 매표 창구 이용객들은 "나이 많은 사람들을 별도로 해주고, 표로 바로 주니까 차라리 낫다"고 말했다.
노약자 우선창구가 마련됐다는 건 배려와 편의 목적이지만, '디지털 래그'(Digital Lag·디지털 시대에 뒤떨어지는 현상)가 심각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반면, '엄지족'(스마트폰 세대를 이르는 말)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무인발권기를 선호하는 편이다.
직장인 최서윤(32)씨는 "코레일 앱으로 미리 예매하면 명절에도 큰 문제 없다. 대학 때부터 수강 신청을 인터넷으로 하다 보니 늘었는지 예매 대란 같은 건 딱히 걱정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여행을 떠난다는 정재호(29)씨는 "무인발권기에서 1분 만에 뽑았고 안 기다려도 되서 좋다"고 했다.
지난해 추석 연휴 기간 중 승차권 예매 비율은 홈페이지 53.8%,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37.7%, 현장 매표소 8.5%였다.
열차를 기다리는 대합실 안 풍경도 디지털 디바이드(정보 격차)가 펼쳐졌다.
패스트푸드 매장 입구에 무인단말기가 마련됐지만, 김명순(69)씨는 "할인 메뉴를 먹고 싶은데 기계로는 잘 안될까봐 헷갈린"”며 점원을 찾았다.
김성회(71)씨는 "일단 불편하고, 뒷사람에게 피해 줄까 눈치도 보인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