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 다 가족을 뜻하지만, 단어 의미로만 봤을 때 친가에는 친(親)하다는 의미가, 외가에는 바깥(外)이라는 뜻이 담겨있다.
외가와 더 가깝게 지내도 외가라는 표현은 여전히 친가보다 거리감이 있다. 아버지 혈통을 중시했던 가부장제의 잔재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친가와 외가를 포함해 명절에 개선해야 할 성차별 언어와 관용 표현을 모아 '서울시 성평등 생활사전' 설 특집 편을 1일 발표했다.
재단은 작년 시민이 제안한 522건 중 전문가 자문을 거쳐 개선 대상과 대안을 선정했다.
우선 집사람·안사람·바깥사람은 배우자, 외조·내조는 배우자의 지원이나 도움으로 바꾸는 안을 제안했다.
이들 표현은 남성은 집 밖에서 일하고, 여성은 집안에서 일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됐다는 게 이유다.
같은 맥락에서 '살림살이를 꾸려가는 안주인'이라는 의미의 '주부'(主婦)는 '살림꾼'으로 바꿔 남성과 여성 모두 쓸 수 있게 하자고 제안했다.
또한 친가·외가는 아버지 혹은 어머니 본가, 장인·장모·시아버지·시어머니는 어머님이나 아버님으로 통일하는 안을 내놓았다.
이밖에 '아직 죽지 못하는 사람'을 뜻하는 미망인(未亡人)은 '故(고) ○○○의 배우자'로, 미혼모(未婚母)는 주체적 의미의 비혼모(非婚母)로 순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재단은 성차별적인 속담과 관용 표현 '톱 7'도 선정했다.
1위는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가 차지했고, '남자는 돈, 여자는 얼굴', '남자는 일생에서 세 번만 울어야 한다'가 뒤를 이었다. '사위는 백년지객(백년손님)'은 사위는 언제나 깍듯하게 대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는 이유로 6위에 선정됐다.
재단은 11일까지 홈페이지에서 '내가 겪은 성평등 명절'을 주제로 도련님·아가씨 등 가족 호칭 개선에 대한 의견과 성평등 사례를 조사한다.
연휴 기간에는 가족이 사다리 게임으로 집안일을 나누는 모습을 인증하면 50명을 추첨해 기프티콘을 증정하는 캠페인을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