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훈풍에 힘입어 경기 파주시와 강원 고성군이 각각 9.53%와 8.06%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고, 서울 용산·동작·마포구도 8%를 웃돌았다.
24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지가 상승률은 4.58%로 2017년의 3.88%에 비해 0.7%p 증가했다. 월별로 보면 10월에 상승률이 0.46%까지 솟았다가 9·13대책과 금리 인상 영향으로 11월엔 0.42%, 12월엔 0.34%로 각각 하락했다.
수도권 지가 상승률은 2017년의 3.82%에서 5.14%로 높아졌다. 다만 6.11%를 기록한 서울을 제외하면 경기는 4.42%, 인천은 3.59%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지방은 3.65%로 2017년의 3.97%에서 상승폭이 둔화됐다. 세종이 7.42%로 가장 높았고 부산은 5.74%, 광주는 5.26%, 대구는 5.01%였다.
시군구별로는 경기 파주시가 9.5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파주 군내면의 경우 124.14%, 장단면은 109.90%나 뛰었다.
또다른 남북경협 수혜지로 꼽히는 강원 고성군도 8.06%를 기록했다. 개발호재지역인 서울 용산구는 8.60%, 동작구는 8.12%, 마포구는 8.11%의 상승률을 나타냈다.
반면 조선업 불황 등 여파로 울산과 군산, 창원과 거제 등에선 땅값이 외려 떨어진 곳이 속출했다. 울산 동구는 지난해 땅값이 3.03%, 전북 군산은 1.92%, 경남 창원 성산구는 1.17%, 거제는 0.65%, 창원 진해구는 0.34% 각각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포함한 지난해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318만 6천 필지(2071.0㎢)로 서울 면적의 3.4배 규모였다. 2017년의 331만 5천 필지에 비해 3.9% 감소한 수준이다.
수도권에선 거래량이 1.3% 증가했지만 지방은 8.0% 감소했다. 특히 지역 경기 침체로 부산은 22.1%, 경남은 21.3%, 울산은 18.6% 각각 줄어들었다.
건축물 부속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108만 9천 필지(1906.8㎢)로 2017년에 비해 6.2% 감소했다.
대전은 토지 거래량이 일년새 9.9% 증가했고, 경기는 6.3%, 광주 6.1%, 전북 6.0%, 전남 3.2% 등이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세종이 28.5%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대전은 12.3%, 광주 3.2%, 인천 2.9%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중심의 주택시장 호조, 세종·광주 등 지방 일부지역 개발사업 영향이 지가 상승을 견인했다"며 "다만 11월 이후엔 상승폭이 둔화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지난해말 발표한 3기 신도시 지역들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한편, 이달부터 세종시에 대해 현장 점검에 나서는 등 땅값 안정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