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생화학교실 묵인희 교수와 정신과학교실 이동영 교수 연구팀은 혈액 속의 타우단백질과 다른 알츠하이머병 유발물질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Aβ)의 비율을 통해 타우단백질의 뇌 축적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Brain)의 표지논문으로 21일 게재됐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으로 뇌세포 손상이 진행된 이후 발견되면 근본적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해 예방하거나 병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알츠하이머병 조기진단에는 알츠하이머병의 발생원인 중 하나인 타우단백질이 뇌에 축적돼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하지만 타우단백질 축적 여부를 검사하는 데는 고가의 양전자 단층촬영(PET) 장비를 사용해야 해 더 저렴하고 정확한 진단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타우단백질의 양이 뇌 안의 타우단백질 축적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인지기능 정상군 52명과 경도 인지기능 장애군 9명, 알츠하이머성 치매군 15명을 대상으로 혈중 타우단백질과 베타 아밀로이드 양, 뇌 내 타우단백질 양, 알츠하이머병의 진행 상태 등을 비교, 조사했다.
분석 결과 혈중 타우단백질 농도가 높을수록 뇌에도 타우단백질이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혈중 타우단백질과 베타 아밀로이드의 농도 비율이 뇌 타우단백질 양 및 알츠하이머병 진행 과정상 해부학적 특징과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혈중 타우단백질 농도와 혈중 베타-아밀로이드 농도의 비율을 이용해 뇌 내 타우단백질 축적을 예측한 결과 85%의 정확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묵 교수는 "이 연구가 실용화되면 치매를 초기 단계에서 정확히 진단할 수 있게 돼 치매의 예방과 진행억제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