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표단-정책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를 혹평했다. 그는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해 "결국 핵을 보유한 평화를 주장한 것"이라며 "북한의 전향적인 조치는 보이지 않고, 한국의 변화만을 강요했다"며 비판했다.
김 위원장이 더 이상 핵개발을 하지 않겠다고 한 반면, 기존 핵무기에 대해서 거론하지 않은 점을 지적한 것으로 "'새로운 길을 갈 수 있다'고 협박하며 핵 보유국의 지위를 강화하려 한 것"이라고 의도를 해석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대한 청와대의 해석을 반박했다. 나 원내대표는 "청와대가 진정한 남북관계 진전을 읽었다는 것을 보면서 또 다시 새해에 청와대가 김정은 답방에만 매달릴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나 원내대표는 경제 문제와 관련해선 최저임금에 주휴수당이 산입된 것을 문제 삼았다. 그는 "대통령의 경제 불통에 대해서 국민들은 절망감을 느낀다"면서 "긴급재정경제명령권을 발동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또 지난달 31일 운영위에 대해선 "핵심 증인은 불출석했다. 그리고 자료 제출은 거부하고 있다"며 청와대의 태도를 비판했다. 조 수석과 임종석 비서실장 등을 출석시켰지만, 박형철 반부패비서관 등이 나오지 않았다는 항변이다.
이어 "운영위를 겪으면서 형사 처벌이 가능한 국정조사와 청문회의 필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제 특검의 조사로 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는 "문 대통령이 조 수석의 출석에 정치공세라고 얘기하며 검찰 수사에 대한 가이드라인으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고 거론했다.
그러나 나 원내대표의 주장이 여야 다른 정당들과 여론의 호응을 받을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특히 지난 운영위에서 지금까지 제기된 의혹을 확정할만한 특별한 물증이 제기되지 못한 상황에서 특검, 청문회, 국정조사 등의 요구는 지나친 정치공세라는 지적이 예상된다.
상황이 이렇지만, 나 원내대표는 공세의 소재를 더 추가했다. 그는 "이제 사찰‧위선 정권에 덧붙여 또 하나 이름을 붙일 내부 고발자가 나타났다"며 신재민 전 기재부 사무관을 부각시켰다. 이어 KT&G 사장 교체 압력, 전 정권 비판용 국채 발행 등 신 전 사무관이 제기한 의혹들을 거론하며 "관련 상임위(기획재정위) 소집이 불가피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