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다 세계적인 저성장 추세,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국 경제, 한국은행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등까지 겹쳐 혼란에 빠진 사람이 늘었다.
이는 시장조사 전문기업 엠브레인이 전국의 만 19~59세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새해 재테크 계획을 조사한 결과에도 엿보인다. 기존 자산을 유지하거나 아끼는 데 초점을 맞춘다(38.7%)는 응답이 가장 많고, 빚 줄이기(25.9%)가 뒤를 이었다. 다양한 투자로 자산을 불리겠다는 응답은 17.9%뿐이다.
전문가들도 재테크 환경이 불확실할 때는 휴식을 하면서 현재의 자산을 지키는 게 현명하다고 얘기한다. 단, 여기서 말하는 휴식은 시장 변화에 대비하는 전략적 휴식이다. 예를 들면 투자 적기에 쓸 수 있는 목돈을 만들어야 한다. 소액의 적금 계좌를 여러 개 만들면 흐지부지 써버리기 쉬우므로 하나로 합치는 게 좋다. 단, 예·적금 만기는 금리 인상 가능성을 고려해 6개월 등으로 짧게 잡아야 유리하다.
대다수 자산관리 전문가들은 새해에 해외 주식, 달러화 등 상대적으로 안전한 자산에 다양하게 분산 투자하고, 목표 수익률은 5~7%로 적당히 잡으라고 조언한다. 이중에서도 가장 유망한 투자처로 미국 달러화를 꼽는 이들이 많다.
최근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속도 조절 가능성을 비치긴 했지만 새해에도 추가로 금리가 인상되고, 이로 인해 글로벌 주식시장이 불안해질 경우 안전자산인 달러화 선호 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란 분석이다.
해외 주식 또한 미국을 첫 손가락에 꼽는 전문가가 많다. 그러나 미국 증시도 하반기에나 강세가 점쳐지는 만큼 상반기에는 신흥국 증시를 눈여겨보라는 조언을 귀담아들을 만하다. 여전히 견고한 성장이 예상되는 인도와 베트남 등의 동남아시아가 유망하다. 2018년에 큰 조정을 겪은 중국에서는 소비재 중심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두 등이 주목받는다.
반면, 국내 코스피지수는 1,900~2,500 사이에서 '상저하고'의 흐름이 예상된다. 시장이 어려울 때는 중소형주보다 대형주, 성장주보다 가치주나 배당주를 추천하는 자산관리 전문가가 많다. 구체적으로는 성장성이 여전한 바이오, 최근 낙폭이 커 반등이 기대되는 화장품, 금리가 인상될수록 수혜를 볼 수 있는 금융 등이 상승세를 탈 전망이다.
코스닥도 전망이 좋다. 1996년에 출범한 코스닥시장은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2~3년 차에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는 관련 정책들이 이 시기에 비로소 실행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반면 9.13 부동산 대책 발표 후 거래가 급감한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신중하게 관망해야 한다. 정부가 여전히 시장을 규제하는 데다, 금리가 오르면 수익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신축이나 재건축 가능성이 높은 아파트가 높은 가격 때문에 부담스럽다면 6~10년 된 아파트로 눈을 돌려야 한다. 저평가됐던 만큼 상승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단, 이때도 인구와 소득이 증가하는 지역, 각종 편의시설이 갖춰진 지역, GTX(광역급행철도) 등의 교통 호재가 있는 지역이라야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12월부터 바뀐 청약제도 덕분에 무주택자는 다소 여유 있게 청약 시장을 공략할 수 있게 됐다. 이광수 미래에셋대우 수석연구위원은 "청약할 때 주변 지역과 비교해 땅값이 얼마나 저렴한지 따져보라"고 귀띔한다. 대개는 분양가와 시세를 막연히 비교하지만 주변 단지도 가격이 제각각이어서 시세차익이 기대에 못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윳돈으로 부동산 투자에 나서는 경우는 섣불리 주택 수를 늘리기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상가나 토지로 눈을 돌리는 게 현명하다는 조언도 요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