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들어 지난 11일까지 서울의 아파트 거래건수는 총 7만9,433건으로 전년 동기(9만9,900건) 대비 20.5% 감소했다.
특히, 강남4구의 거래량은 1만4,733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무려 41.8%가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비강남권이 13.3% 줄어든 것에 비해 감소폭이 훨씬 컸다.
강남구는 3,420건이 거래 돼 전년 동기(6,838건) 거래의 반토막에 그쳤고, 송파구도 전년 동기 대비 40.8%가 감소했다.
이와관련,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팀장은 "고가주택이 많은 강남권은 대출 규제로 주택구입자금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더욱이 매도자들은 매물을 거둬들이거나 규제에도 불구하고 호가를 낮추지 않았고 매수자들 역시 가격이 더 떨어지길 기대하며 관망세로 돌아서 거래가 줄었다"고 말했다.
월별 거래량을 보면 올해 들어 양도세 중과를 피하려는 다주택자들이 매물을 내놓으면서 3월까지는 거래가 많았다. 하지만 양도세 중과가 시행된 4월 이후에는 감소하다 8월들어 1만5,092건으로 최고점을 찍은 뒤 9.13 부동산대책 발표이후 거래가 그야말로 급감했다.
8월의 아파트 거래가 많았던 것은 7월 기재부가 내놓은 보유세 강화 안이 예상보다 강도가 약했고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의 여의도와 용산, 강북개발 발언이 이슈화되면서 단기간에 주택 구입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아파트 준공 연식에 따른 거래 비중을 살펴보면 준공 된지 15년초과~20년 이하의 아파트 거래가 전체의 24%로 가장 많았고 이어 10년초과~15년이하인 아파트가 19%로 거래량이 많았다.
10년~20년사이 아파트의 거래가 많은 것은 갭투자나 리모델링 기대감의 수요가 많기 때문이다. 이들보다 더 노후한 단지의 경우 재건축이 추진 중이면 가격이 높고 재건축 추진이 안되면 노후해서 수리비 등 예상치 못한 비용이 더 들어갈 수 있어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다.
올해 서울의 분양시장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분양가 통제로 신규 아파트들이 주변 시세와 대비해 낮게 분양되면서 경쟁이 치열했다. 특히, 강남권은 중도금 대출도 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수십대 1 경쟁률을 기록하는가 하면 비강남권에서는 1만명 이상 청약자가 몰리기도 했다.
새해에도 서울 분양시장에 대한 관심은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몫이 괜찮은 신규 아파트의 경우 주변시세가 분양가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서울 부동산 시장은 현재 하락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개발 호재 등 작은 변수에도 반등 폭이 클 것으로 보인다.
권일 팀장은 "올해 박원순 서울시장의 발언이 헤프닝으로 끝났지만 그시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급증했던 것처럼 실탄을 갖고 있는 잠재적 실수요자, 투자자들은 서울에 많다. 따라서 서울시의 개발 향방에 따라 시장이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