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는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수개월째 지연되고있는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승인 문제를 논의했다.
회의 소집을 요청한 러시아는 "안보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이용해 지연 상황이 바로잡힐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모든 대안을 검토해달라"고 압박했다.
러시아는 또 은행 분야의 대북제재 해제를 거론했으나 미국은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관련해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과거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노력은 결코 주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권력자나 정권에 돌아갔다"면서 "우리는 그들이 왜 그렇게 하려는지 잘 알고 있으며, 그런 일이 일어나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제동을 걸었다.
회의에 앞서 헤일리 대사는 기자들에게 "구호품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게 아니라는 걸 확실히 하려고 기술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우리가 지금 심사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대북제재위원회는 안보리 15개 이사국으로 구성돼 있으며, 특정 사안의 결정 시 전체 회원국의 '전원 동의'로 운영된다.
대북 인도주의 지원이 이뤄지려면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통해 예외를 인정받아야 한다.
앞서 지난 8월 아일랜드는 자국의 구호단체인 '컨선 월드와이드'가 북한에서 4건의 구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허용해달라고 대북제재위에 제재면제를 요청했으나 미국은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이탈리아 기업인 '아그로텍 스파'도 북한에 트랙터, 트랙터 트레일러와 부품을 수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승인을 요청했으나 승인이 나지 않았다.
국제적십자·적신월사연맹(IFRC)도 지난 6월 식수 위생사업을 위한 제재면제를 요청했으나 현재까지도 계류 상태다.